워드프레스에서 페이지 빌더가 있는 테마를 적용하면 블로그의 모든 부분을 0부터 직접 디자인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하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보통 적당한 샘플 테마를 고른 후 수정해서 사용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앞서 이 블로그에는 GeneratePress 프리미엄를 적용했는데 높은 인지도나 페이지 빌더 기능이 마음이 들었고 그 외 커뮤니티 포럼, 질문 게시판도 활성화되어 있어서 선택했다.
블로그 전체 디자인은 GP 샘플 테마의 각 페이지 요소(Elements)를 복사한 뒤 조금씩 변경해서 사용하였다. 그러다 최근에 생각이 변해서 마케터(Marketer) 테마를 새로 적용했는데 그 이유와 테마 설치 방법을 아래 정리해 보았다.
1. 마케터 테마 선택 이유

테마를 변경하기로 한 건 직접 만든 테마가 디자인이 부족하고 코드를 많이 붙인 탓인지 속도도 느리다고 느낀 이유가 크다. 그래서 특정 테마의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조금만 수정하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디자인과 기능(속도)가 좋아지면 분명히 블로그 방문자 경험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테마 중 마케터 테마를 선택한 이유는 다음 포털의 뉴스 페이지 디자인을 쉽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다음(Daum)은 페이지 내 글 본문과 사이드바 등의 모든 요소를 하나의 독립된 카드로 화면에 배치하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통일된 깔끔한 인상으로 보인다.
마케터 테마는 기본적으로 본문과 사이드 바가 위처럼 배치되어 있다. 페이지 레이아웃이 복잡하지도 않고 배치한 요소도 적어서 로딩 속도에서도 유리하다는 판단이 들었다.
워드프레스 테마로 마케터를 선택하는 사람이 많은 것을 보면 어느 정도 일리가 있지 않나 싶다.
참고로 마케터는 GP 테마 무료 버전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기능에는 제약이 있지만, 깔끔하고 무난한 테마로 괜찮은 선택이라고 본다.
관련 글
워드프레스 꼭 유료 테마를 선택해야 할까
워드프레스 꼭 비싼 테마를 사는 것이 좋을까
GeneratePress 유료 버전 (프리미엄) 설치 방법
2. 마케터 테마 설치 방법

테마 설치를 위해 대시보드의 Appearance – GeneratePress를 선택하자.

이어서 화면 위의 Site Livrary로 이동해야 하는데 만약 기존 테마가 있는 상태라면 삭제를 물어보는 안내 창을 볼 수 있을 것이다.
‘No Thanks’를 선택하면 기존 테마는 그대로 두고 새 테마를 덮을 수 있다. 하지만 테마끼리 충돌이 나거나 디자인이 겹쳐서 이상해질 때가 많은 것도 사실이라, 정말 테마를 바꿀 거라면 삭제 버튼을 클릭하자.

다음 화면에 샘플 테마 화면이 나오면 위쪽 빈 칸에 Marketer 입력 후 테마를 선택하면 된다.


이후 화면 오른쪽 위의 시작, 적용 버튼까지 클릭하면 블로그에 마케터 테마 설치를 마칠 수 있다.
여기서 GenerateBlocks을 먼저 설치해야 하는데, 이건 페이지 빌더 기능을 활성화하는 GP 테마 자체의 플러그인으로 보면 된다.
관련 글
GeneratePress GenerateBlock 설치 이유와 방법

블로그 메인 화면에 접속해보면 테마 설치가 잘 적용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Element와 customizing으로 테마 디자인 편집을 진행하면 된다.
관련 글
워드프레스 설정 관련 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