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사실이나 정보 또는 타인으로부터 무슨 말을 들었을 때 한국어로는 ‘듣다’ 동사로 표현할 수 있다. 일본어에서 듣다에 해당하는 동사는 聞く(きく 키쿠)이인데, 상황에 따라 말하다 뜻의 言う(いう 이우)를 수동형으로 바꾼 いわれる(이와레루)를 사용할 때도 있어서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좋다.
~と聞いた
먼저 きいた는 きく의 과거형으로 ‘들었다’의 의미가 된다. 여기에 ~と 조사를 앞에 붙이면 ‘~라고 들었다’의 뜻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신의 귀로 어떤 소리, 소문을 듣거나 정보를 얻었을 때 사용하면 무난하다. 영어로 치면 듣다/들리다에 해당하는 Hear나 과거형 heard에 가깝다.
彼が入社したことは友達から聞いた。
그가 입사한 것은 친구에게 들었다
コンサートは明日始まると聞きました。
콘서트는 내일 시작한다고 들었어요.
そんな噂はどこから聞いたんですか。
그런 소문은 어디서 들었어요?
あの店は安いと聞いたから、行ってみよう。
그 가게는 싸다고 들었는데(들었으니까), 가보자.
~という話を聞いたんですげど、本当ですか。
~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정말인가요?
만약 きく를 기본형으로 쓰면 자신이 어떤 의지를 가지고 집중해서 어떤 소리에 귀를 기울여 듣는다의 의미가 되며 영어로는 Listen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毎日音楽を聞く
매일 음악을 듣다
ちゃんと聞いてください
제대로 들어주세요
今、話を聞いてますか。
지금 이야기를 듣고 있어요?
変な音が聞こえる (키코에루)
이상한 소리가 들리다
* 聞こえる : ~이/가 들리다, ~ 어떤 뜻으로 해석되다(들리다)
よく聞こえているよ。
잘 들리고 있어. (잘 들려)
その話は噓に聞こえる
그 이야기는 거짓말로 들린다
다만, 다른 사람으로부터 어떤 말을 들었을 때 한국어와는 다르게 일본어에서는 聞いた 대신 言われた를 써야 자연스럽다.
~と言われた
~토 이와레루는 言う(말하다) → 言われる(수동형) → 言われた(과거형)으로 변한 형태로 직역하면 ‘~라고 말해졌다’가 된다. 한국어에서는 누군가로부터 어떤 말이나 평가, 지시, 충고를 들었다 정도로 의역할 수 있고 영어로 치면 I was told (that)~ 정도가 된다.
이건 일본어가 한국어보다 수동형 표현이 발달한 이유로 볼 수 있는데 예로 한국어에서는 ‘내가 누구로부터 ~라는 이야기를 들었다’처럼 그런 말을 들은 행동의 주체인 자신에게 초점을 두고 있다. 반면, 일본어는 ‘내가 누구로부터 ~라고 말해졌다’처럼 자신이 상대로부터 어떤 말이나 의견을 받았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先生から賢いと言われた。
선생님으로부터 똑똑하다고 말해졌다
(선생님이 똑똑하다고 하셨다)
馬鹿(だと)言われて気持ちが悪い
바보라고 말해져서 기분이 나쁘다
(바보라는 말을 들어서 기분이 나쁘다)
この辺りは危ないと言われている。
이 주변은 위험하다고 말해지고 있다.
(이 주변은 위험하다고 한다, 들리고 있다, 전해진다)
일본어 ている와 てある 의미 차이와 사용 방법
先輩に文章を直せと言われた。
선배에게 문장을 고치라고 말해졌다.
(선배가 문장을 고치라고 했다)
友達に頑張れと言われた (O)
友達に頑張れと聞いた (X)
친구에게 열심히 하라고 들었다
(친구가 열심히 하라고 했다)
* 자신이 친구들로부터 그런 말을 직접 들은 것이므로, 소리나 정보를 듣는 의미의 聞いた는 어울리지 않는다.
일본어 공부 마스터 가이드
일본어 기초 조사와 です ます 사용 방법 뜻 정리
일본어로 친구 友 友達 友人 親友 어떤 차이가 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