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블로그 페이지 속도 확인하는 방법

블로그 페이지 속도가 빠르면 사용자 경험과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 유리하므로 가능하면 빠르게 세팅하는 것이 좋다. 워드프레스 속도는 크게 아래 요인들과 영향이 있는데 자신의 블로그에 최적화가 되어 있는지 체크해 보자.

호스팅 상품 최적화
– 호스팅 서버 속도 확인
– 워드프레스 버전 업데이트

테마/플러그인 최적화
– 빠르고 가벼운 테마
– 플러그인 최적화/업데이트
– 불필요한 플러그인 비활성화/삭제

이미지 최적화
– 이미지 압축 플러그인 활용으로 용량 감소 (Smush, EWWW, ShorPixer 등)
– WebP, JPEG 등 적절한 이미지 형식 사용
– Lazy Loding 기능을 사용해서 화면에 보이는 이미지 먼저 출력 후 나머지는 스크롤할 때 추가로 출력 (초기 속도 향상)

코드 최적화
– HTML, CSS, JavaScript 축소
– 불필요한 코드를 지워서 로딩 지연 개선

데이터/캐싱 최적화
– Autoptimize, WP Rocket 등의 플러그인을 사용해서 불필요한 데이터와 캐시를 삭제하고 블로그 속도 최적화

사실 개별 요소만 확인하면 어디에 문제가 있고 전체 속도는 어떤지 잘 모를 수 있다. 이때 구글 페이지 스피드 인사이트에서 블로그 URL을 넣고 검사를 진행하면 보다 상세하게 속도 요소를 분석할 수 있어서 도움 된다.


https://pagespeed.web.dev/

첨부 링크를 참고해서 페이지에 접속한 다음, 블로그 URL을 입력하고 ‘분석’을 눌러서 진행할 수 있다.


분석 결과는 휴대전화와 데스크톱으로 나오는데 하나씩 살펴볼 수 있다. 참고로 코어 웹 바이탈은 사이트의 로딩 속도에 대한 기준인데 경험상 구글 서치콘솔에서 블로그 글의 총 검색 결과 클릭 수가 1,000회를 넘으면 표기되는 것 같다.


분석 결과, 이 블로그의 모바일 버전은 성능과 권장사항 항목에서 점수가 떨어지는 것이 보인다.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처음 만들면 모든 수치가 100점에 가깝지만, 계속 운영하면서 이것저것 추가하다 보면 점수가 떨어질 수 있다.


화면을 내리면 어디서 문제가 있는지 진단 결과가 있는데 각 목록 옆 화살표를 내려서 확인하고 개선을 진행하면 된다.


모바일 점검을 마쳤다면 데스크톱 버전도 확인해 보자. 사이트 성능이 좋으면 코어 웹 바이탈 목록에 녹색이 많고 평가도 통과라고 나온다.


이어서 성능 문제 4개 항목이 90점 이상으로 나오면 사이트 성능/속도는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고로 페이지 스피드에서 같은 사이트를 여러 번 측정하더라도 환경과 조건 등에 따라 분석 결과는 조금씩 달라질 때가 있다. 따라서 절대적인 기준으로 보기는 어렵겠지만, 항목별 분석 수치를 객관적으로 알려주는 만큼 블로그/사이트 속도 개선에 참고할 수 있겠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