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파비콘 로고 설정 방법과 무료 사이트 정보

보통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파비콘과 로고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웹 사이트 상단 브라우저 탭의 이미지가 파비콘(Favicon)이라면, 로고(Logo)는 해당 사이트의 대표 이미지와도 같다.

워드프레스나 다른 플랫폼에서 블로그를 운영할 때 파비콘과 로고를 꼭 설정해야 하는지 궁금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 자세히 알아보자.

1. 파비콘을 설정하는 이유

사이트마다 다른 파비콘 디자인

누구든 웹 사이트를 이용할 때 위와 같은 파비콘 이미지를 본 적 있을 것이다. 사실 파비콘과 로고는 같은 이미지로 사용해도 상관없지만, 중요한 것은 해당 사이트의 대표 이미지라는 점에 있다. 즉 방문자에게 사이트의 첫인상과 정체성, 콘텐츠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는 시각적 이미지라서 브랜드 인지도나 전문성을 올리는데 유리하다.

그래서 개인 블로그라도 꾸준히 운영한다면 파비콘(로고)는 꼭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블로그 종류에 따라 파비콘 설정 방식 등에는 차이가 있다. 여기서 블로그 종류는 크게 가입형과 설치형으로 나눌 수 있고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가입형 블로그
– 플랫폼 회원 가입 후 쉽게 블로그 개설
– 플랫폼 회원이다 보니 블로그도 플랫폼 정책의 영향을 받음
– 기본적으로 무료가 많지만, 플랫폼에 따라 매월 비용을 내고 추가 기능 사용(wordpress.com, ghost.org)
– 사용 도메인은 회원 ID + 플랫폼 도메인 방식 또는 개인 도메인 연결
– 대표적으로 워드프레스 가입형(wordpress.com), 고스트 가입형(ghost.org), 구글 블로그(blogspot), 티스토리(tistory), 브런치(brunch), 네이버(naver) 등

설치형 블로그
– 외부 호스팅 사이트에서 도메인과 호스팅 서비스 구매 후 블로그 프로그램 다운로드 후 설치
– 플랫폼 회원 가입 방식이 아니라서 가입형 블로그보다 자유로운 운영 가능
– 개인 도메인, 서버 임대가 필수인 만큼 추가 비용 발생
– 대표적으로 워드프레스 설치형(wordpress.org), 고스트 설치형(ghost.org/download) 등

가입형 블로그 파비콘 예시

가입형 블로그를 열면 기본적으로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플랫폼 고유의 파비콘 이미지가 설정된다. 파비콘 변경이 가능한 플랫폼이라면 원하는 이미지를 사용하면 되는데 만약 그렇지 않다면 플랫폼 이미지를 계속 사용해야 한다. (이 부분도 플랫폼 정책을 따름)

이 글 작성일 기준으로 국내 가입형 블로그 중에 네이버와 브런치는 파비콘 변경이 가능하지 않다. 물론 파비콘을 바꾸지 않아도 글 콘텐츠가 좋다면 블로그 운영은 가능하지만, 그래도 이왕 블로그 브랜딩을 생각한다면 다른 플랫폼을 여는 것도 좋을 것이다.

관련 글
워드프레스 가입형과 설치형의 차이를 알아보자
워드프레스 도메인 구매 가격과 호스팅 업체 이름 정보



2. 파비콘 무료 사이트 추천

워드프레스에 설정하는 파비콘은 512 x 512 픽셀 사이즈의 png나 ico 확장자 파일을 준비해야 한다.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 같은 프로그램 사용에 익숙하다면 직접 이미지를 만들어도 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아래 소개하는 사이트에서 내려 받는 것이 편할 것이다.

* 파비콘 다운로드가 유료이거나 무료더라도 반드시 저작권자를 표기해야 하는 등 조건이 있는 곳은 제외하였음


2-1. Free Favicon

Free Favicon

https://freefavicon.com
프리파비콘에 가면 동물, 비즈니스, 아이콘, 식물, 사인 등 제법 다양한 카테고리의 파비콘을 찾아서 내려받을 수 있다.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클릭한 다음 ‘Download this Favicon’ 문자를 클릭하면 압축 파일이 다운로드 되는데, 원한다면 금액을 기부할 수도 있다.


2-2. Icon archive

icon archive

https://iconarchive.com
아이콘 아카이브에는 메인화면 안내를 따르면 80만 개 이상의 파비콘 이미지가 있고 모두 무료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원하는 파비콘은 키워드 검색이나 사이트 상단의 카테고리나 인기, 신규 카테고리를 활용하면 더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다. 파비콘 종류가 워낙 많아서 가끔 촌스러운 디자인도 보이는데 잘 찾으면 상당히 퀄리티 좋은 파비콘도 나오기는 한다.

워드프레스 설정 창의 권장 사이즈는 512 x 512 픽셀이지만, 더 작은 사이즈도 설정 가능하다. 만약 진행이 안된다면 그림 프로그램에서 내려 받은 파비콘 png 파일을 열고 사이즈를 크게 만들어서 다시 시도하면 된다.


2-3. Iconfinder

Iconfinder

https://iconfinder.com
이 글에서 마지막으로 소개하는 아이콘파인더는 다양한 카테고리의 감각적이고 세련된 디자인이 매우 많다. 파비콘으로 사용할 이미지를 찾으려면 사이트 접속 후 첫 화면에서 Icons를 클릭 후 원하는 검색어 입력을 하면 된다.

사이트에는 유료 이미지/아이콘도 많지만, 화면 왼쪽 메뉴에서 Free를 선택하면 무료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대체로 예쁜 아이콘은 유료인데 그래도 잘 찾으면 괜찮은 무료 아이콘도 많으니 여러 번 검색을 해도 좋을 것이다.

다만 아이콘 다운로드 전에 라이센스 관련 내용을 읽어보는 것이 좋다. 같은 무료 아이템이라도 그 종류에 따라 개인과 상업적 이용 범위가 달라지는 듯한데 자세한 내용은 원하는 아이콘 선택 후 찾을 수 있다.



3. 워드프레스 파비콘 설정 방법

원하는 파비콘, 로고 이미지를 준비했다면 워드프레스 로그인 – 설정화면 왼쪽 메뉴의 Appearance – Customize로 이동하자.

* 사용 테마에 따라 진행 방식은 달라질 수 있는데 이 글은 GeneratePress 테마를 기준으로 합니다.


화면이 바뀌면 왼쪽 메뉴 가장 위에 보이는 Site Identity를 클릭하면


위처럼 로고(Logo)와 파비콘(Site Icon) 업로드 설정 옵션을 볼 수 있다.

– Site Title : 블로그/홈페이지 제목
– Tagline : 블로그 설명문

참고로 블로그 제목과 제목 옆에 오는 설명문은 위 옵션으로 설정하면 된다.


이제 로고와 파비콘 옵션 버튼을 클릭해서 준비한 이미지를 올리면 된다. 위와 같은 새 창이 뜨면 이미지를 선택하고 창 오른쪽 아래 Select 버튼을 클릭하면 완료이다.


만약 로고 이미지가 너무 크다면 위처럼 이미지 크기 조절 창이 나올 것이다. 이미지 영역 바깥쪽에 보이는 사각형 점을 드래그해서 움직이면 조절 가능한데 대략 정사각형으로 만든 뒤 Crop image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 자르기를 하면 오류가 날 때가 있어서 웬만하면 작은 사이즈 이미지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이미지 등록을 마치면 실제로 블로그에 적용된 모습이 나온다. 메뉴 창 위의 Publish 버튼을 클릭하고 블로그 주소로 접속하면 잘 적용된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