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로 비용이나 가격을 이야기할 때 많이 쓰는 단어로 安(やす)い 야스이(싸다)와 高(たか)い 타카이(비싸다)가 있다. 그런데 각 한자 뒤에 ‘오름, 올라감’으로 사용하는 上(あ)がり를 붙인 단어는 무슨 뜻으로 사용하는 걸까.
먼저 安上がり(やすあがり) 야스아가리는 ‘비용이 적게 든다, 저렴하게 해결된다’ 등의 의미가 있다. 가격이 저렴한 安い와 ‘~되어 마침, ~가 완성됨’ 정도에 해당하는 上がり가 붙어 만들어진 말로 주로 사물이나 방법, 계획 혹은 특정 행동 등에 비용이 적게 들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 같은 뜻으로 安く上がる도 참고하자.
なるべく安上がりで済ませる
되도록 적은 비용으로 끝내다
この計画は安上がりでできた
手作りの料理は安上がりでいい
직접 만드는 요리는 싸게 먹혀서 좋다
비용과 관련된 내용이라면 전연령층이 사용할 수 있는 말이지만, 주로 경제적 효율을 논하는 상황에서 쓰다 보니 검소하거나 절약하는 사람, 실용적인 사람들이 많이 쓰는 것 같다. 다만 일상에서는 평균적으로 安上がり보다 ~が安い(~가 저렴하다, 싸다)나 コストがいい(코스트가 좋다, 가성비가 좋다)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참고로 安上がり는 드물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사용할 때도 있기는 하다. 예를 들어 같이 스시를 먹으러 갔는데 비싼 생선 대신 저렴한 유부초밥이나 계란초밥을 먹는 상대에게 ‘安上がりな子だな’ (비용이 적게 드는 아이구나’라고 말하는 식이다. 단, 이것은 친밀한 관계에서 연장자가 어린 사람이나 친구 관계 등에서 사용하는 느낌이다.
또는 생활비가 적게 드는 검소한 생활을 하는 것을 두고 安上がりに生きる와 같이 표현하거나, 그런 사람을 두고 安上がりな男、安上がりな女라고도 말하기도 한다.
한편 安上がり와 반대의 개념인 高上り는 ‘~가 비싸다’는 ~が高い처럼 보편적인 표현이 있고, 비싸게 먹힌다는 말도 高くつく이기 때문에 단순히 安上がり의 반대 개념인 ‘가격이 비싸게 먹힘’의 뜻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것 같다.
참고로 高上り는 桂馬(けいま)の高上がり와 같이 속담에서 사용하는 예는 있다. 이 말은 계마(장기말의 일종)가 높이 올라갔다는 뜻으로 실력에 맞지 않는 자리에 있으면 실패하거나 괴롭다는 의미가 있다.
일본어 공부 마스터 가이드
일본어 いいです는 좋아요 뜻으로만 사용하면 될까
일본어로 좋다 いい와 よい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