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는 전 세계 약 40% 정도의 사이트 제작 비율을 차지하는 인기 웹사이트 플랫폼이다. 하지만 막상 워드프레스를 시작하려고 해도 가입형과 설치형 두 가지 방식이 있어서 선택에 고민이 올 수 있다.
이 둘은 요금 체계나 홈페이지 제작 방식 등에 차이가 있는데, 결론적으로 구글 애드센스 광고를 붙여 블로그 운영을 생각한다면 설치형을 추천한다.


먼저 이 글을 작성하는 지금 워드프레스 가입형의 요금은 6가지가 있다. 가입형이란 네이버나 티스토리처럼 ‘워드프레스’ 업체 사이트에 회원 가입해서 사이트·블로그를 만드는 방식이다.
반면 설치형은 사용자가 직접 호스팅 업체에서 도메인을 구한 다음, 임대한 서버에 워드프레스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볼 수 있는데 잠시 차이를 살펴보자.
메뉴 | 워드프레스 가입형 (wordpress.com) | 워드프레스 설치형 (wordpress.org) |
가입 방법 | – wordpress.com 사이트 접속 및 회원가입 후 플랜 선택 | – 호스팅 업체에서 도메인과 서버 호스팅 상품 결제 후 설치 |
도메인 | – 1년 사용 가능한 무료 도메인 (abc.wordpress.com)이 제공되며 개인 도메인 연결 가능 – 모든 유료 요금제에서 연결 가능 | – 기본 제공 도메인이 없으므로 호스팅 사이트에서 구매 후 사이트에 연결 |
요금제 | – 모든 요금은 US 달러 기준임 – 플랜별 월별/연간 요금이며 세금 별도 – Starter : 4$ / 48$ (기존의 ‘개인’) – Explorer : 8$ / 96$ (기존의 ‘프리미엄’) – Creator : 25$ / 300$ (기존의 ‘비즈니스’) – Entrepreneur : 45$ / 540$ (기존의 ‘상거래’) – Cloud : 월 65$부터 – 엔터프라이즈 : 연 25,000$부터 | – 매월 무료 (닷홈) 또는 500원 (카페 24) 상품도 있지만, 파일 저장 용량과 트래픽이 너무 낮음 – 적당한 용량과 트래픽을 생각하면 월 5$ 정도는 결제해야 함 |
트래픽 | – 워드프레스 업체가 트래픽을 감당하고 있어서 방문수가 많아져도 추가 요금은 발생하지 않음 | – 가입한 호스팅 상품에 따라 매월 트래픽과 웹 용량이 제한됨 – 트래픽이 높아질수록 호스팅도 위 단계로 업그레이드 필요 |
저장 공간 | – Starter : 6GB – Explorer : 13GB – Creator : 50GB – Entrepreneur : 50GB – Cloud : 최대 225GB SSD – 엔터프라이즈 : 전문 서비스 | – 저렴할수록 용량이 적음 – 예로 카페24의 ‘매니지드 워드프레스’ 상품 중 제일 저렴한 월 500원 ‘스타트업’은 500MB임 (사진을 많이 올리면 금방 초과됨) |
테마 (스킨) | – 무료 : 모든 요금제에서 사용 가능 – 프리미엄 : Explorer, Creator, Entrepreneur 요금제 사용 가능 – 파트너 : Creator, Entrepreneur 요금제 사용 가능 | – 워드프레 설치 완료 후 Add Theme 페이지에서 무료 테마를 적용하거나 유료로 업그레이드 |
광고 수익 | – Explorer 요금제부터 워드프레스 자체 광고 시스템인 Wordads 사용 가능 (‘성인용’ 표기 블로그는 사용 제한) – Creator 요금제부터 구글 애드센스 사용 가능 (광고 단가는 비교적 높지만 구글의 심사를 통과해야 함) | – 구글 애드센스를 승인 후 바로 적용할 수 있음 |
플러그인 및 확장성 | – Creator 요금제부터 서드파티 플러그인 적용 가능 – 설치형에 비하면 제약이 있다. (호환성, 파일 업로드 등) | – 모든 플러그인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음 – 확장성 면에서 우수함 |
데이터 관리 | – Creator 이상부터 관련 플러그인이 활성화된 사이트에서 PHP 모듈 사용 가능 – Explorer 이상부터 사용자 정의 css 추가 가능 | – phpMyAdmin 접속 가능 – 호스팅 상품에 따라 C 패널 접속 가능 |
결론 | – 블로그 초보자라면 스타터나 익스플로러 요금제를 선택해볼 수 있음 – 트래픽 높은 사이트 운영 시 설치형보다 유리함 – 테마·플러그인 사용 및 사이트 확장, 레이아웃 변경 등은 Creator 요금제 이상 추천 – 구글 애드센스 운영 희망 시 Creator 요금제부터 가능한데 초보자에게 비쌈 – 서브 도메인 사용 시 추가 플랜 가입 필요 | – 호스팅 비용만 내면 블로그 초보자부터 고수까지 원하는 사이트 제작 가능 – 업로드하는 파일이 많거나 사이트 방문 트래픽이 높아지면 호스팅을 위 단계로 올려야 함 – 사이트 커스텀이 자유로워서 원하는 사이트를 만들기 쉬움 – 서버비는 처음에 월 5,000원 정도로 저렴하고 무난하게 시작할 수 있음 – 호스팅 상품에 따라 추가 도메인 n개까지 무료 연결 |
설치형 워드프레스 운영을 하려면 호스팅 상품을 결제해야 한다. 보통 업체마다 3년 플랜으로 한 번에 결제하면 월 5,000원 커피 한 잔 정도 값으로 서버를 빌릴 수 있다. 애드센스 설정이 가능한 가입형 워드프레스의 월 요금 Creator 25$(약 34,000원)보다 훨씬 저렴한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가입형 상품도 설치형보다 좋은 점은 분명히 있지만, 초보자 입장에서 굳이 비싼 요금제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는 조언을 하고 싶다. 호스팅 업체는 카페 24로 예를 들면 월 500원 ‘스타트업’의 위 단계인 ‘빌드업’을 선택하면 월 1,100원으로 매우 경제적인 가격에 시작할 수 있다. (도메인과 기타 테마 등 비용은 별도)
이후 블로그를 꾸준히 운영하면서 방문자가 늘고 기본 트래픽이 부족해지면 다시 위 단계인 월 5,500원 ‘비즈니스’로 변경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