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설치형 (wordpress.org)을 시작하기로 마음먹었다면 가장 먼저 블로그에 사용할 도메인을 구해야 한다. 설치형은 가입형과 달리 기본으로 주어지는 도메인이 없어서 사용자 스스로 호스팅 업체를 통해 별도 구매한 다음, 서버 호스팅 상품에 연결하면 된다.
도메인은 블로그의 간판이자 이 블로그가 어떤 곳인지 방문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신중하게 결정하는 게 좋은데 웬만한 이름은 이미 누군가 사용 중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귀찮다고 아무 이름으로 대충 지으면 블로그를 운영하면 할수록 100% 후회하게 되니 꼭 좋은 이름을 찾으려는 노력은 필요하다.
아래는 도메인의 구조부터 가격, 호스팅 업체 이름 목록을 정리하였는데 이름을 짓기 전에 참고해 보자.
1. 도메인 구조 이해

도메인은 위처럼 도메인 이름(Top, Second)과 서브 도메인 구조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서브 도메인인 ‘www’는 생략하고 뒤의 이름을 결정하면 된다.
위 그림에서 ‘abcd’ 위치에 오는 적당한 이름과 ‘com’ 위치에 해당하는 최상의 도메인을 정하면 이름 생성을 마칠 수 있다.
자주 쓰이는 최상위 도메인
– com (Commercial) : 영리, 비즈니스 등의 사이트
– net (Network) :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
– co.kr (Korea : 국가 이름) : 특정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 org (Organization) : 공공 서비스 또는 비영리 조직
– edu (Education) : 대학 및 교육기관
이 밖에도 ai, xyz, life, me, blog, info, shop과 같은 다양한 최상위 도메인이 있는데 인지도를 생각했을 때 아무래도 ‘com’이 가장 무난하다. 만약 같은 이름으로 ‘com’이 이미 사용 중이라면 차선으로 ‘co.kr’이나 ‘net’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인지도 높은 도메인이 언제나 정답은 아니다. 유명 위키 사이트인 나무위키의 도메인은 ‘namu.wiki’인데 대단히 개성 있고 사용자의 주소 인식도 쉬운 편이다.
같은 원리로 자신이 운영할 블로그나 사이트의 성격에 따라 주소를 ‘abc.blog’나 ‘abc.info’와 같은 식으로도 정할 수 있다. 단 지나치게 독특한 이름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주소 인식이 어려워진다.
또한 과거 언젠가 ‘www.가나다.com’과 같은 한글 도메인이 유행한 적이 있는데 절대 추천하지 않는다. 영어와 한국어 교차 입력도 번거롭고 일부 웹 브라우저에서 제대로 접속이 안 된다는 것 같다. 더구나 한글을 모르는 외국 유저는 아예 사이트 이름을 인지할 수 없고 무엇보다 요즘 사용하는 사람을 찾을 수 없는데 굳이 시도할 필요는 없다.
2. 도메인 평균 가격

도메인은 영구 소장 개념은 없고 구매하는 기간만큼 임대 개념으로 보면 된다. 호스팅 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원하는 이름을 입력하면 최상위 도메인별 가격을 볼 수 있다. 보통 ‘.com’이나 ‘co.kr’ 같은 주소는 1년에 15,000원 정도인데 인지도가 낮은 최상위 주소는 그보다 저렴한 경우도 많다.
단, 이벤트로 저렴한 도메인을 구매하는 경우 정상 가격을 확인하지 않으면 나중에 이벤트 종료 후 매년 비싼 가격을 내야 하니 꼭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또한 호스팅 상품에 따라 도메인을 무료 제공하는 업체도 적지 않다. 이 경우 호스팅 상품을 구매하면 무상 제공 기간에는 도메인 요금이 따로 나가지 않는 점 참고하자.

한편 특정 이름의 도메인은 누군가 미리 선점한 경우가 적지 않다. 꼭 사용하고 싶은 도메인이라면 업체 대행 서비스를 통해 구매하는 것도 방법인데 위 예시 도메인은 소유자가 $35,994에 판매를 희망한다고 한다.
한화로 계산하면 거의 5천만 원인데 도메인 소유자마다 희망 가격은 천차만별이다. 만약 터무니없는 가격이면 다른 이름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
3. 호스팅 업체 목록
호스팅 업체는 국내와 해외 합쳐서 다양한 곳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꼭 국내 업체를 선택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도메인과 서버 호스팅 상품을 반드시 같은 곳으로 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즉 어떤 업체를 선택하더라고 이후 서버에 잘 연결하기만 하면 워드프레스 블로그 운영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만료 기간 전에 꼭 연장해야 하고 나중에 도메인/호스팅 이전도 가능함) 그래서 먼저 각 업체 사이트를 둘러보고 마음에 드는 곳을 선택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국내 호스팅 업체
– 가비아 : https://www.gabia.com/
– 카페 24 : https://www.cafe24.com/
– 호스팅케이알 : https://www.hosting.kr/
– 닷네임 : https://www.dotname.co.kr/
– 닷홈 : https://www.dothome.co.kr/
– 후이즈 : https://domain.whois.co.kr/
– 고대디 kr : https://kr.godaddy.com/
해외 호스팅 업체
– 네임칩 : https://www.namecheap.com/
– 블루호스트 : https://www.bluehost.com/
– 드림호스트 : https://www.dreamhost.com/
– 호스트게이터 : https://www.hostgator.com/
– 호스팅어 : https://www.hostinger.com/
– 패스트코멧 : https://www.fastcomet.com/
– A2 호스팅 : https://www.a2hosting.com/
– IONOS : https://www.ionos.com/
– 크레이지도메인스 : https://www.crazydomains.com/
위 업체 목록은 업계 순위를 나타낸 것이 아니며 이보다 더 많은 곳이 있을 수 있다.
관련 글
– 유니크한 도메인 좋은 점과 만들 때 참고하면 좋은 방법
– 도메인 개인정보(WHOIS)보호 서비스 가입은 꼭 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