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오십음도 히라가나 가타카나 발음 체계 표 정리

일본어의 오십음도(五十音圖) (일본어 : 오십음순 五十音順)는 가로 5단, 세로 10행으로 만든 발음 기호 표인데 일본어 공부를 시작할 때 먼저 익혀두면 좋다. 자음과 모음을 조합해서 하나의 음을 완성하는 한국어와 달리, 각 글자가 하나의 음절을 나타내고 있어서 일본어의 거의 모든 발음을 표현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오십음도가 처음 만들어진 건 약 6세기 일본에 전해진 인도 불교와도 관련이 있다. 앞서 일본에서는 한자를 주로 사용했지만,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 794~1185)에 히라가나와 카타카나 문자가 정립되었고 이를 불교 학습을 위해 인도어에 맞춰 배열한 것이 점점 발전해서 지금의 오십음도가 되었다고 한다.

* 시대 흐름에 따라 사용하는 글자가 달라지다 보니 오늘날 오십음도에 있는 글자도 정확하게 50글자는 아니다.

추가로 일본어 발음 체계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면 기본 10개 자음 소리는 아(a)/이(i)/우(u)/에(e)/오(o) 모음을 더해 발음한다. 예로 か(ka) 발음의 모음은 카/키/쿠/케/코와 같이 되는 식으로 보면 된다.

또한 각 자음의 い(i)행은 や(ya)행의 모음과 조합할 수 있는데 きゃ(캬), きゅ(큐), きょ(쿄)/ちゃ(챠), ちゅ(츄), ちょ(쵸)와 같이 표기하며 이런 발음을 요음이라고 부른다. 拗音(ようおん)

1. 히라가나 ひらがな

あ단 (a)い단 (i)う단 (u)え단 (e)お단 (o)
あ(아)행あ (a)い (i)う (u)え (e)お (o)
か(카)행か (ka)き (ki)く (ku)け (ke)こ (ko)
さ(사)행さ (sa)し (shi)す (su)せ (se)そ (so)
た(타)행た (ta)ち (chi)つ (tsu)て (te)と (to)
な(나)행な (na)に (ni)ぬ (nu)ね (ne)の (no)
は(하)행は (ha)ひ (hi)ふ (fu)へ (he)ほ (ho)
ま(마)행ま (ma)み (mi)む (mu)め (me)も (mo)
や(야)행や (ya)ゆ (yu)よ (yo)
ら(라)행ら (ra)り (ri)る (ru)れ (re)ろ (ro)
わ(와)행わ (wa)* ゐ (wi)* ゑ (we)を (wo)
ん (n)

* ゐ, ゑ는 현대 일본어에서 거의 또는 아예 사용하지 않는다.
* ん은 글자 뒤에 붙어서 받침 소리를 내는데 앞 글자에 따라 ‘응, 음, 은’ 등으로 발음한다.
(한국어와 유사한 표기이며 실제 일본어 발음은 다를 수 있음)
– 응 발음 : 元気(げんき) – 건강(겡키)/原因(げんいん) – 원인(겡잉/겐잉)
– 은 발음 : 変態(へんたい) : 변태(헨타이)/本当(ほんとう)に – 정말로(혼또-니)
– 음 발음 : 天(てん)ぷら : 튀김(템뿌라)/三分(さんぷん) – 3분(삼푼)


2. 가타카나 カタカナ

아단 (a)이단 (i)우단 (u)에단 (e)오단 (o)
ア(아)행ア (a)イ (i)ウ (u)エ (e)オ (o)
カ(카)행カ (ka)キ (ki)ク (ku)ケ (ke)コ (ko)
サ(사)행サ (sa)シ (shi)ス (su)セ (se)ソ (so)
タ(타)행タ (ta)チ (chi)ツ (tsu)テ (te)ト (to)
ナ(나)행ナ (na)ニ (ni)ヌ (nu)ネ (ne)ノ (no)
ハ(하)행ハ (ha)ヒ (hi)フ (fu)ヘ (he)ホ (ho)
マ(마)행マ (ma)ミ (mi)ム (mu)メ (me)モ (mo)
ヤ(야)행ヤ (ya)ユ (yu)ヨ (yo)
ラ(라)행ラ (ra)リ (ri)ル (ru)レ (re)ロ (ro)
ワ(와)행ワ (wa)* ヰ (wi)* ヱ (we)ヲ (wo)
ン (n)

* ヰ, ヱ는 현대 일본어에서 거의 또는 아예 사용하지 않는다.


3. 오십음도에 없는 발음

오십음도의 글자는 일본어 글자의 가장 기본이 되는 발음이지만, 한국어나 영어와 비교했을 때 부족한 발음이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오십음도 글자에 탁음, 반탁음, 촉음을 붙여서 추가 발음을 표현하는데 학습자 역시 모두 익혀 두어야 정확한 일본어 발음을 구사할 수 있다.

3-1. 탁음 濁音(だくおん)

먼저 탁음은 이름 그대로 ‘탁한 소리’이며 맑은 소리인 청음(淸音)과 대비되는 소리이다. 청음이 발음할 때 성대 진동이 되지 않는 무성음이라면 탁음은 성대 진동이 있는 유성음인데 か, さ, た, は 글자 오른쪽 위에 탁점(“)을 찍어서 표기한다.

– か(ka) : が(ga), ぎ(gi),ぐ(gu), げ(ge), ご(go)
– さ(sa) : ざ(za), じ(zi/ji), ず(zu), ぜ(ze), ぞ(zo)
– た(ta) : だ(da), ぢ(di/ji), づ(du), で(de), ど(do)
– は(ha) : ば(ba), び(bi), ぶ(bu), べ(be), ぼ(bo)

한국어의 발음을 예로 들면 기존 글자에 탁점을 더해서 ‘카 → 가, 사 → 자, 타 → 다, 하 → 바’와 비슷하게 변한 것을 알 수 있다.


3-2. 반탁음 半濁音(はんだくおん)

탁음은 탁음인데 반만 탁음을 붙인다고 이해해도 좋을 것 같다. 탁점이 아닌 동그라미 반탁점(°)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오직 ‘は행’에만 붙일 수 있다.

– は(ha) : ぱ(pa), ぴ(pi), ぷ(pu), ぺ(pe), ぽ(po)

반탁음 글자 표기를 한국어 발음으로 하면 ‘파, 피, 푸, 페, 포’가 되지만, 실제 일본어 발음에서는 단어에 따라 ㅍ 말고도 ㅃ에 가까운 소리가 나기도 한다고 보면 될 것이다.

예)
– 파 발음 : アパート(아파-토 : 한국의 빌라), パチンコ(파칭코)
– 빠 발음 : 天(てん)ぷら(템뿌라 : 튀김), いっぱい(입빠이 : 가득)


3-3. 촉음 促音(そくおん)

촉음 っ(tsu)는 오십음도의 ん처럼 일본어에서 받침 소리를 내는 역할을 한다. (음운 체계상 한국어의 받침과는 다를 수 있다고 함) 원래 글자인 つ보다 작게 (っ) 표기하고 글자 뒤에 붙어서 앞의 음을 잠시 막았다가 소리를 내는 개념과도 비슷하며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 切符(きっぷ) : 표, 티켓 (kippu)
– 切手(きって) : 우표 (kitte)
– 雑誌(ざっし) : 잡지 (zassi)
– かっこいい : 멋있다, 대단하다 (kakkoii)

또는 구어체에서 끝이 い로 끝나는 형용사를 감탄사로 말할 때 뒤의 い음절을 생략하고 っ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좀 더 캐주얼하고 회화 느낌을 살린 표현이 된다. (혼잣말 할 때 사용하기도 함) 단, 이것은 표준어가 아닌 데다 일본인 중에서도 잘 말하지 않는 사람도 있는 점은 참고하자.

예)
– うまい(우마이) → うまっ(우마ㅅ) : 맛있어
– まずい(마즈이) → まずっ(마즈ㅅ) : 맛없어
– 寒(さむ)い(사무이) → 寒(さむ)っ(사무ㅅ) : 추워
– 暑(あつ)い(아쯔이) → 暑(あつ)っ (아쯔ㅅ) : 더워
– 怖(こわ)い (고와이) → 怖(こわ)っ(고와ㅅ) : 무서워

* 일본 드라마나 영화, 애니메이션 등을 보면 어떤 느낌으로 사용하는지 쉽게 익힐 수 있다.

관련 글
일본어 히라가나 가타카나 쉽게 외우는 방법 안내
일본어 회화 섀도잉 (따라 말하기) 추천 이유와 연습 방법
애니메이션만 봐도 일본어 회화를 할 수 있을까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