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심에 까마귀가 많은 이유와 공격 대처법 안내

한국 도심에 비둘기가 많다면 이웃 나라 일본에서는 까마귀를 많이 볼 수 있다. 과거 일본에서는 까마귀를 신성한 존재로 여겼지만, 지금은 개체수 증가와 그에 따른 여러 문제가 발생하면서 그리 달갑지 않은 존재가 되어버렸다.

일본에 까마귀가 많은 이유는 산업화와 도시화 등으로 인한 번식 환경의 변화에 있다. 그래서 자연을 벗어나 인간이 모여 사는 도심으로 오게 된 건데 특히 도심에서는 풍부한 먹이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만큼, 일본 도심에 까마귀가 몰리게 하는 역할을 했다.


일본 도심에 까마귀가 많은 이유와 공격 대처법
까마귀



까마귀로 인한 문제

1. 도시미관 저하
까마귀가 도심을 배회하고 둥지를 트는 이유는 쉽게 먹이를 구할 수 있기 때문인데 바로 사람들이 배출한 음식 쓰레기 등이 주요 대상이다. 음식을 찾는 과정에서 쓰레기봉투를 찢어 엉망으로 만들기 때문에 주변 미관이나 위생이 안 좋아진다.

따라서 배출하는 (음식) 쓰레기양을 줄인다면 도심에 서식하는 까마귀도 먹이를 구하기 어려워져서 개체수가 줄어들 것이다. 물론 이건 개인의 노력을 넘어서 지자체 단위의 노력으로 조금씩 개선될 수 있다.

혹은 도심에서 떨어진 자연 속에 까마귀가 거주할 수 있도록 먹이 공급 장소를 마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먹이 공급 장소에 지속적으로 먹이가 제공된다면 까마귀가 직접 도심으로 유입되어 번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2. 배설물 오염
까마귀가 서식하는 둥지 주변이나 건물, 거리 곳곳에는 어김없이 배설물이 남는다. 특히 많은 개체가 동시에 쓰레기봉투를 습격하는 경우 주변에 엄청난 양의 배설물을 남기기도 한다. 까마귀 배설물은 미관상, 위생상 매우 좋지 않다. 또한 배설물에 포함된 산성 성분으로 인해 도심 속 가로수나 구조물, 건물 등도 부식하게 할 수 있다.

3. 사람 공격
도심 까마귀 증가로 인한 큰 문제 중 하나는 바로 사람을 공격하는 점을 들 수 있다. 까마귀는 주로 3~6월 사이 번식기에는 예민해지고 둥지 근처를 지나거나 새끼에게 접근하는 사람을 공격할 확률이 매우 높다.

물론 모성애로 인한 행동이겠지만, 그래도 길을 걷다가 불시에 날카로운 부리로 공격을 받는 것은 위험하다.



까마귀 공격 대처법

도심에서 난데없이 까마귀를 마주친다면 매우 당혹스러울 것이다. 까마귀는 사람에게 경고하기 위해 커다란 소음을 내기도 하지만, 바로 공격해 오기도 하는 만큼 대처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 까마귀 자극하지 않기 : 까마귀를 자극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위협적인 제스처나 소리를 지르는 행동은 까마귀를 자극할 수 있어서 더 공격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 시선 마주치지 않기 : 직접 눈을 마주치는 것도 까마귀에게는 위협으로 비칠 수 있으므로, 시선을 돌리고 자리를 피하는 것이 좋다.

– 모자·우산 활용하기 : 모자나 우산 등 얼굴과 머리를 가릴 수 있는 물건을 가지고 있다면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자.

– 음식물 보이지 않기 : 까마귀가 도시에 서식하는 가장 큰 이유는 먹이를 구하기 위함이다. 만약 길을 걸을 때 손에 간식거리나 다른 음식을 들고 있다면 까마귀의 공격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은 숨기는 것이 좋다.

– 새끼 까마귀 접근 금지 : 새끼 까마귀는 태어나고 약 1달 동안 날지 못한다고 한다. 그래서 간혹 바닥을 걷는 새끼 까마귀를 마주할 수 있는데 근처에는 반드시 어미 까마귀가 있다. 만약 새끼에게 접근하면 어미에게 공격당할 확률이 높아진다.

까마귀로 골머리를 썩고 있는 일본에서는 이미 다양한 방법으로 까마귀를 퇴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쓰레기봉투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그물망을 씌우거나 포식자나 죽은 까마귀 모형도 활용한다고 한다. 하지만 도심 까마귀 문제가 아직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므로 일본 방문 시 언제든 마주칠 수 있다는 점은 참고해 두자.

또한 최근 한국에서도 서울과 수도권, 남부 지역 일부 도심에 출몰하는 까마귀 개체수가 증가하였다는 보도가 있다. 집단으로 전봇대 전선에 앉아서 ‘까~악’하며 우는 경관은 공포심을 유발하기도 하고 갑자기 머리 뒤에서 공격하는 모습도 당혹스럽고 위험하다.

만약 까마귀를 마주친다면 위에서 안내한 대로 조심스럽게 피해 가는 것이 좋고 향후 지자체 등에서도 조치가 이루어진다면 도심 내 개체수는 감소할 것이다.


도심에 출몰한 까마귀떼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