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 이름

허브는 자체의 향과 풍미가 있는 식물로 주로 요리에서 음식과 차에 향미를 더하는데 바질이나 민트, 로즈마리, 오레가노 등이 자주 사용된다.
또한 요리 목적 외에도 다양한 신체·정신적 질병 및 컨디션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예로 라벤더는 진정 효과가 있어서 스트레스를 줄이고 수면을 유도하거나 페퍼민트는 소화를 돕는 기능이 있다.
그 외 향이 비교적 강한 세이지, 로즈마리, 아르테미시아 등은 비누나 향수, 에센셜 오일 등 향료 제작에도 사용되는 만큼, 허브는 일상에서 넓게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허브 이름 | 한자 | 카타카나/히라가나 | 발음 |
허브 Herb | – | ハブ, ハーブ | 하브, 하-브 |
허브차 Herb Tea | – | ハーブティー | 하-브티 |
고수 Cilantro, Coriander | – | コリアンダー | 코리안다- |
딜 Dill | – | ディル | 디루 |
라벤더 Lavender | – | ラベンダー | 라벤다- |
레몬그라스 Lemongrass | – | レモングラス | 레몬구라스 |
레몬 밤 Lemon Balm | – | レモンバーム | 레몬바-무 |
레몬 타임 Lemon Thyme | – | レモンタイム | 레몬타이무 |
로바지 Lovage | – | ラビッジ, ラベージ, ロベージ | 라빗지, 라베-지, 로베-지 |
로즈마리 Rosemary | – | ローズマリー | 로-즈마리- |
마조람, 마저럼 Marjoram | – | マジョラム | 마죠라무 |
물냉이 Watercress | – | オランダガラシ, ウォータークレス | 오란다가라시, 워-타-쿠레스 |
민트 Mint | – | ミント | 민토 |
바질 Basil | – | バジル | 바지루 |
베르가못 Bergamot | – | ベルガモット | 베루가못토 |
보리지 Borage | – | ルリヂサ, ルリジサ | 루리지사 |
부케가르니 Bouquet Garni * 프랑스식 허브묶음 : 수프나 스튜 등을 만들 때 사용 | – | ブーケガルニ | 부-케가루니 |
부추 Garlic Chives | 韮 | にら | 니라 |
사사프라스 Sassafras | – | サッサフラス | 삿사후라스 |
선갈퀴 (Sweet Woodruff) | – | スイートウッドラフ | 스이-토웃도라후 |
세이지 Sage | – | セージ | 세-지 |
세이보리 Savory | – | サボリー, セイボリー | 사보리-, 세이보리- |
시소 Shiso | – | シソ | 시소 |
수영 Sorrel | – | スイバ | 스이바 |
시슬리 (Sweet) Cicely | – | スイートシスリー | 스이-토 시스리- |
스피어민트 Spearmint | – | スペアミント | 스페아민토 |
스테비아 Stevia | – | ステビア | 스테비아 |
아니스히솝 Anise Hyssop | – | アニスヒソップ | 아니스히솝프 |
오레가노 Oregano | – | オレガノ | 오레가노 |
월계수잎 Bay Leaf, laurel | – | ベイリーフ, ローレル, ローリエ | 베이리-후, 로-레루, 로-리에 |
우드 베토니 Wood Betony | – | ウッドベトニー | 웃도베토니- |
에파조테 Epazote | – | エパゾテ, アリタソウ | 에파조테, 아리타소우 |
차이브 Chive | – | チャイブ | 챠이브 |
처빌 Chervi | – | チャービル | 챠-비루 |
커리 플렌트 Curry Plant | – | カレープラント | 카레-프란토 |
캐모마일 Chamomile | – | カモミール | 카모미-루 |
타라곤 Tarragon | – | タラゴン | 타라곤 |
타이바질 Thai Basil | – | タイバジル | 타이바지루 |
타임 Thyme | – | タイム | 타이무 |
툴시 (Tulsi), 홀리바질 (Holy Basil) | – | カミメボウキ (神目箒), ホーリーバジル, トゥルシー | 카미메보우키, 호-리-바지루, 토우루시- |
파슬리 Parsley | – | パセリ | 파세리 |
페니로얄 Pennyroyal | – | ペニーロイヤル | 페니-로이야루 |
페퍼민트 Peppermint | – | ペパーミント | 페파-민토 |
향쑥 Wormwood | 苦艾 | にがよもぎ | 니가요모기 |
회향 Fennel | – | フェンネル | 휀네루 |
히솝(속) Hyssop | – | ヒソップ | 히솝프 |
향신료 조미료 소스 이름

향신료는 음식을 보존하고 요리할 때 풍미를 향상시키면서 인체 건강에도 유익한 효과가 있는 요리 재료이다. 향신료의 기원은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미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사프란과 계피 등을 사용한 기록이 전해져 온다.
중세 시대 이후 유럽 사회에서는 생강, 후추, 육두구, 정향과 같은 향신료 수요가 높아졌고 그 가치는 금과도 비슷한 정도였다고 한다. 이에 유럽 열강은 원활한 향신료 보급을 위해 무역로를 넓게 확장했고, 그 결과 인도와 동남아시아 국가 식민 지배로 이어졌다.
오늘날 향신료는 재배, 교통 기술 등의 발달로 세계 여러 나라에 보급될 수 있었다. 나라마다 요리 문화에 따라 주로 사용하는 향신료에 차이가 있는데, 일본에서는 소금, 설탕, 간장, 후추, 생강, 고추냉이(와사비) 및 산초·고추·참깨·대마씨·김·생강 등으로 만든 시치미를 주로 사용한다.
* 七味(시치미), 七味唐辛子(시치미 토우가라시) : 7가지 맛이 난다고 하는 일본식 양념으로 주로 덮밥이나 우동 같은 요리에 매콤한 맛을 추가할 때 뿌려서 먹는다. 단 고춧가루가 들어갔음에도 매운 맛은 한국 고춧가루보다 약하다.
참고 글

향신료 이름 | 한자 | 카타카나/히라가나 | 발음 |
향신료 Spice | 香辛料 | こうしんりょう | 코우신료- |
조미료 Seasoning | 調味料 | ちょうみりょう | 쵸우미료- |
양념(하다) Season | 味付する | あじつけする | 아지츠케 (스루) |
고추 Chili (pepper) | 唐辛子·唐芥子 | とうがらし | 토우가라시 |
간장 Soy sauce | しょうゆ | 醤油·醬油 | 쇼-유 |
가다랭어포 Katsuo Bushi | かつお節 | かつおぶし | 카츠오부시 |
깨, 참깨 sesame | 胡麻 | ごま | 고마 |
들깨 Perilla seeds | 荏胡麻 | えごま | 에고마 |
참기름 Sesame oil | 胡麻油 | ごまあぶら | 고마아부라 |
들기름 Perilla oil | 荏の油 | えのあぶら | 에노아부라 |
* 깻잎 Perilla leaf | 胡麻·荏胡麻の葉 | ごま·えごまのは | 고마·에고마노 하 |
겨자 mustard | 芥子 | からし | 가라시 |
고추냉이 (와사비) Wasabi | 山葵·山萮菜 | わさび | 와사비 |
고추장 gochujang, red pepper paste | -, 唐辛子味噌 | コチュジャン, とうがらしみそ | 고츄쟝, 토우가라시미소 |
굴소스 Oyster sauce | 牡蠣油 | かきあぶら, オイスター ソース | 카키아부라, 오이스타-소-스 |
꿀, 벌꿀 Honey | 蜂蜜 | はちみつ | 하치미츠 |
데미그라스 (돈까스 소스) Demiglace sauce | – | デミグラス ソース | 데미구라스 소스 |
된장 (Soy)bean paste | 味噌 | みそ | 미소 |
데리야키 Teriyaki * 미림, 간장 등을 졸여서 만든 달짝지근한 소스 | 照り焼きソース | てりやきソース | 테리야키소-스 |
라유 (고추기름) Raayu, Chili oil | 辣油 | らゆ | 라유 |
레몬즙 Lemon juice | レモンの汁 | レモンのしる | 레몬노시루 |
마요네즈 Mayonnaise | – | マヨネーズ | 마요네-즈 |
케첩 Ketchup | – | ケチャップ | 케챱프 |
마늘 Galric | 大蒜·葫 | にんにく | 닌니쿠 |
머스타드 Mustard | – | マスタード | 마스타-도 |
멸치액젓 Salted Anchovy sauce (멸치 어장) | いわし魚醤 | いわし ぎょしょう | 이와시교쇼우 |
명란젓 Pollack roe | 明太子, 鱈子 | めんたいこ, たらこ | 멘타이코, 타라코 |
미림 (조미료로 쓰는 달콤한 술) Mirin | 味醂 | みりん | 미린 |
미원 Monosodium glutamate (MSG) | 味の素 | あじのもと | 아지노모토 |
바닐라 Vanilla | – | バニラ | 바니라 |
바베큐 소스 Barbecue sauces | – | バーベキュー ソース | 바-베큐-소-스 |
살사 소스 (멕시코 소스) Salsa sauce | – | サルサ | 사루사 |
산바이즈 Sanbaizu * 식초, 간장, 설탕, 미림 등으로 만든 초간장류 소스 | 三杯酢·三盃酢 | さんばいず | 산바이즈 |
스리라차 소스 (태국 매운 소스) Sriracha sauce | – | スリラチャ | 스리라챠 |
설탕 Sugar | 砂糖 | さとう | 사토우 |
각설탕 Cube sugar | 角砂糖 | かくざとう | 카쿠자토우 |
흑설탕 Brown sugar | 黒砂糖, 黒糖 | くろざとう, こくとう | 쿠로자토우, 코쿠토우 |
소금 Salt | 塩 | しお | 시오 |
깨소금 Sesame salt | 胡麻塩 | ごましお | 고마시오 |
식초 Vinegar | 酢·醋·酸 | す | 스 |
시치미 Shichimi | 七味 | しちみ | 시치미 |
우스타 소스 Worcester (shire)sauce | – | ウスターソース | 우스타-소-스 |
타레 Tare * 간장, 설탕으로 만든 달짝지근한 소스류 | 垂れ | たれ | 타레 |
폰즈 Ponzu sauce * 미림, 가다랭어포, 다시마 등으로 만든 만능 소스 | ポン酢 | ポンず | 폰즈 |
파 Welsh onion | 葱 | ねぎ | 네기 |
핫소스 Hot sauce | – | ホットソース | 홋또-소-스 |
해선장 Hoisin sauce * 중국의 된장류 | 海鮮醤 | かいせんじゃん | 카이센쟝 |
후추 Pepper | 胡椒 | こしょう | 코쇼우 |
흑후추 Black pepper | 黒胡椒 | くろこしょう | 쿠로코쇼우 |
흰후추 White pepper | 白胡椒 | しろこしょう | 시로코쇼우 |
통후추 Pepe intero | 粒こしょう | つぶこしょう | 츠부코쇼우 |
후리카케 Furikake * 말린 생선, 김, 깨, 소금 등을 섞어 만든 가루로 밥에 뿌려 먹음 | 振(り)掛け | ふりかけ | 후리카케 |
인도 향신료 이름

추가로 인도에는 인도 고유의 향신료가 매우 다양한 것으로 유명하며 대표 요리인 카레만 해도 그 종류와 맛이 천차만별이다. 지금은 세계화의 영향으로 인도 밖에서도 어렵지 않게 인도 향신료나 요리를 접할 수 있을 텐데 대표 향신료 이름을 알아두면 유용하지 않을까 싶다.
향신료 이름 | 한자 | 카타카나/히라가나 | 발음 |
가람마살라 garam masala | – | ガラムマサラ | 가라무마사라 |
강황 Curcuma | 姜黄 | キョウオウ | 쿄-오우 |
겨자씨 Mustard seed | ケシの種 | けしのたね | 케시노타네 |
계피 Cinnamon | 桂皮 | けいひ, シナモン | 케이히, 시나몬 |
레드칠리 Red Chilli | – | レッドチリ | 렛도치리 |
마살라 Masala | – | マサラ | 마사라 |
사프란 Saffron | – | サフラン | 사후란 |
생강 Ginger | 生姜·生薑 | しょうが, ジンジャー | 쇼우가, 진쟈- |
암추르 Amchoor | – | アムチュール | 아무츄-루 |
올스파이스 Allspice | – | オールスパイス | 오-루스파이스 |
육두구 (넛맥) Nutmeg | 肉豆蔲 | にくずく | 니쿠즈쿠 |
메이스 Mace * 육두구 씨 껍질 | – | メース | 메-스 |
정향 Clove | 丁子 | チョウジ | 쵸우지 |
카다멈 Cardamom | 小荳蔲·小豆蔲 | ショウズク | 쇼우즈쿠 |
쿠민 (큐민, 커민) Cumin *중국에서는 쯔란으로 부름 (孜然) | – | クミン | 쿠민 |
팔각 (스타아니스) Star Anise | 唐樒 | トウシキミ | 토우시키미 |
호로파 Fenugreek | 胡蘆巴 | ころは | 코로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