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 GPT 출시를 시작으로 각종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가 보편화되었다. 인공지능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기존에 사람이 만든 데이터를 수집하고 학습해서 사용자의 질문에 적절한 답변을 내놓는다.
얼마 지나고 보니 AI의 답변 생성 기능을 활용해서 유튜브와 블로그에서 대량으로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람들이 등장했다. 하지만 질 낮은 콘텐츠가 넘치자 결국 구글을 비롯한 여러 검색 포털에서 저품질·스팸성 콘텐츠 노출 제한과 같은 조치를 진행하기도 했다.
구글 검색 결과에 질 낮은 복사 콘텐츠가 많아지면 구글에 비용을 지불하는 광고주들은 헛돈을 쓰는 건데 구글에서 가만히 있을 리가 없다. 또한 콘텐츠 창작자들의 저작권과 이익 보호를 위해서도 저품질 콘텐츠는 앞으로도 계속 제한할 수밖에 없다.
인공지능을 잘 활용하려면
AI 답변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 넣는 건 대단히 편하지만 매우 근시안적인 방법이다. 먼저 검색 엔진봇이 해당 글을 유사 콘텐츠로 판단해서 검색 결과 순위가 떨어지기 쉽다.
그리고 AI 답변은 정교하다고 해도 사람이 봤을 때 어색한 티가 날 때가 많다. 만약 어떤 블로그를 방문했는데 AI 느낌의 글만 가득하다면 방문자는 위화감을 느끼고 블로그를 이탈할 확률이 높아진다.
결국 복사 콘텐츠가 많은 블로그는 검색 엔진과 방문자 모두로부터 신뢰받지 못하게 된다. 당연히 블로그의 성장과 장기적인 운영에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용한다.
반면 인공지능을 잘 활용하면 블로그 운영에 플러스가 될 수 있는데 콘텐츠의 독창성과 창의성을 살리는 것이 핵심이다. 즉 AI를 활용하더라도 글쓰기 아이디어를 얻거나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도로 그치고 최종 콘텐츠의 완성은 사람이 마치는 방식이다.
이때 AI 답변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글을 구성하거나 특히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이나 의견을 더하면 좋다. 이렇게 하면 더 많은 아이디어를 얻으면서 시간도 아낄 수 있고, 검색 엔진과 사람들이 좋아하는 독창적인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