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는 구텐베르크(Gutenberg, 구텐버그) 에디터가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처음 사용하면 화면이 허전하고 무슨 기능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직관적으로 알기 어려워서 불편하다.
하지만 익숙해지면 나중에는 글쓰기 뿐만 아니라 블로그 헤더나 본문, 사이드바, 푸터 등 각 요소를 디자인 할 때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제너레이트 프레 블록 에디터)
이 글에서는 구텐베르크 에디터의 특징과 글쓰기 사용법, 그리고 클래식 에디터와 관련된 정보를 준비하였다.
1. 구텐베르크 에디터 특징

구텐베르크는 본문 내 콘텐츠를 블록 방식으로 구성하는 에디터이다. 이를테면 헤더나 이미지, 본문 글 등 모든 요소를 개별 블록으로 구성하는 만큼 편집이 자유로운 것이 장점이라 할 수 있다.
화면에는 글쓰기 관련 기능이 거의 안 보여서 허전한 느낌이 드는데 필요한 요소(블록)을 하나씩 추가하면 된다.
2. 요소 추가하는 방법

요소 추가를 위해서는 화면 왼쪽 위에 보이는 토글 삽입 + 표시를 열어야 한다. 이곳에서 원하는 요소를 찾아서 클릭하면 본문에 추가되는 방식이다.


아니면 토글 아이콘 대신 본문 단락 부분에 단축 명령어를 입력해도 된다. 먼저 슬래시(/) 입력 후 원하는 요소 이름을 클릭하면 작은 창이 나오는데 선택하자. 여기서 입력하는 언어는 현재 워드프레스 설정 언어나 영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요소와 요소 중간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파란색 줄이 나오는데 가운데 블록 추가 + 버튼을 눌러서 새로운 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3. 요소 편집하는 방법

예시를 위해 단락(본문 글), 헤더, 이미지, 목록, 단락으로 구성된 글을 작성해 보았다. 화면 왼쪽 위의 문서 아이콘을 클릭하면 현재 본문 구성 요소와 순서를 볼 수 있고 요소끼리 드래그를 통해 순서도 변경 가능하다.

목록에서 각 요소 옆에는 점 세 개가 있는데 클릭하면 옵션 창에서 복사 붙여 넣기나 앞/뒤 요소 추가, 스타일 복사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각 요소는 본문 안에서 마우스 왼쪽으로 클릭하면 관련 옵션이 나온다. 요소에 따라 옵션 내용은 차이가 있는데 크게 글자 굵기, 기울기, 정렬, 링크 걸기 등이 있다.
참고로 요소 위치 이동은 조금 전 목록 창에서 드래그&드롭하거나 본문 옵션 창의 위아래 화살표를 눌러도 된다. 개인적으로 요소의 자유로운 이동은 구텐베르크의 강점이라고 느낀다.

글 작성을 마쳤다면 발행하기 전에 에디터 화면 오른쪽 목록 메뉴에서 다양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화면 상단
– 글 저장 : 현재 글을 임시 글로 저장
– 보기 : 데스크톱, 태블릿, 모바일과 글 미리 보기 기능
– 발행 : 글 발행하기 (아래 설정한 옵션 대로 발행)
– 목록 : 아이콘 클릭 시 목록 창을 열기/닫기 가능
Post
– 특성 이미지 : 글 대표 사진 설정
– 발췌문 추가 (Add an excerpt) : 발췌문은 해당 글을 요약한 내용으로, 본문 글 첫 문단의 일정 글자 수를 인용한다. 발췌문을 추가하면 해당 글에 새로운 요약 내용을 지정할 수 있다.
– 상태 : 임시 글, 대기 중, 비공개, 예약 글 등 설정 가능
– 공개 : 즉시 발행하거나 예약 날짜와 시간 설정
– 링크 : 해당 글의 퍼머링크
– 글쓴이 : 로그인한 아이디
– 토론 : 댓글 작성 여부나 핑백/트랙백 설정
– 카테고리 : 카테고리 지정
– 태그 : 태그 지정
4. 클래식 에디터 설치 방법

구텐베르크가 잘 맞지 않는다면 대안으로 클래식 에디터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대시보드 플러그인 – 플러그인 추가 메뉴로 오면 첫 화면에서 바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없으면 Classic Editor를 검색하면 된다)
에디터 플러그인 설치를 마쳤다면 활성화 버튼도 클릭해야 블로그에 적용된다.

설치를 마친 후 대시보드 설정 – 쓰기 메뉴로 오면 클래식 에디터 메뉴가 활성화된 것을 볼 수 있다. 설정을 바꿀 때는 블록 에디터를 선택하고 화면 아래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다시 글쓰기 화면으로 돌아왔더니 클래식 에디터가 잘 적용되어 있다. 확실히 구텐베르크보다 화면이 익숙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을 것 같은데 각각 장단점이 분명한 만큼 원하는 쪽을 선택하면 된다.


끝으로 팁이 있다면 사실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아도 클래식 에디터는 사용할 수 있다. 앞서 구텐베르크는 5.0 버전 이후 처음 만들어져서 도입되었고 워드프레스 기본 에디터로 자리 잡았다. 이때 원래 클래식 에디터는 기존 사용자들을 위해 구텐베르크의 블록 형태로 변경되었다.
블록 클래식 에디터는 구텐베르크 기능을 같이 사용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플러그인 클래식 에디터와 기능 면에서 차이가 있으니 비교 후 선택하면 좋다.
관련 글
GeneratePress GenerateBlock 설치 이유와 방법
구텐베르크 에디터 글자 스타일 설정 방법
GeneratePress 마케터 테마 선택 이유와 설치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