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글자 단어 분량은 얼마나 쓰는 게 좋을까

블로그 글 한편을 쓸 때 글자와 단어 분량을 두고 고민이 될 수 있다. 글이 너무 짧으면 내용이 부실해 보이고 전문성이 떨어지거나 반대로 너무 길면 방문자가 지루해서 끝까지 다 읽지 않을 수 있어서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글자 수에는 정답이 없고 블로그/사이트의 성격이나 콘텐츠 내용, 타켓 독자층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인터넷 포털 검색 최적화(SEO)와 방문자의 가독성 등을 생각했을 때 가장 이상적인 글자 분량은 약 1,500~2,000자 정도라고 한다. 하지만 이 역시 ‘일반적인’ 기준이라서 모든 블로그 글을 대상으로 하지는 않는다.

개인적으로 글자 수보다 중요한 건 글 내용의 콘텐츠라고 생각한다. 즉 글 내용이 얼마나 글 주제와 제목과 일치하고 또 얼마나 효과적으로 잘 전달할 수 있는지 여부가 더 중요하다고 본다. 그래서 콘텐츠 내용만 좋다면 딱 한두 줄만 글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것도 전혀 문제없다.

언뜻 생각하면 대단히 정성과 성의가 없는 글 같지만, 방문자는 필요한 내용을 얻을 수 있으므로 콘텐츠 가치는 충분한 셈이다. (조회수를 얻으려고 이슈 키워드로 사람들을 낚시하는 건 반대한다)

키워드 검색과 적정 글자 수를 너무 신경쓰면 글 한 편 한 편을 작성하는 게 어려워진다. 그것보다는 분량이 길든 짧든 꾸준히 글을 작성해서 콘텐츠 양을 늘리는 게 훨씬 낫다. 작성한 모든 글이 검색 포털 상단에 올라가지 않더라도 블로그에 좋은 콘텐츠가 많다면 한번 찾아온 방문자가 다른 글도 찾아서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결국 방문자 체류 시간도 늘고 점점 검색 엔진도 블로그를 좋게 평가할 것이다. 따라서 꾸준한 블로그 운영에는 글자와 단어 수를 너무 생각하는 대신 좋은 콘텐츠 제작을 생각하는 편이 더 이롭다.

참고 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