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에서 흔히 1~2개 정도의 특정 주제를 다루면 전문 블로그(Single-Topic)로, 그 이상 여러 주제가 있으면 잡블로그(Multi-Topic)라고 부른다. 블로그 운영에서 주제는 참 중요한 요소인데 선택에 따라 앞으로의 블로그 정체성과 방문자층, 성장 방향 등에도 영향이 크다.
그럼 둘 중 어느 쪽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 아래 둘의 장단점과 결론을 정리했는데 혹시 선택에 고민이 있다면 참고해 보자.

1. 전문 블로그 장점
– 전문성 향상 : 특정 분야 내용으로 블로그 글을 작성할수록 콘텐츠 전문성 향상과 블로그 브랜드 구축에 좋다.
– 높은 재방문율 : 해당 주제에 맞는 전문 글이 많으면 주제에 관심 있는 방문자는 블로그를 자주 찾아올 확률이 높아진다.
– 검색 엔진 최적화(SEO) 유리함 : 전문 블로그는 특정 주제와 키워드에 집중할 수 있다. 이는 검색엔진이 최적화 작업을 하기 쉽게 만들어 주고 글 상위 노출에도 유리하게 작용한다.
– 블로그 수익 증가 : 단일 주제로 블로그를 운영하면 주제와 잘 맞는 맞춤 광고가 송출된다. 그러면 주제에 관심 있는 방문자의 광고 참여율이 높아져서 수익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2. 전문 블로그 단점
– 글 작성 어려움 : 블로그 운영자가 해당 주제 내용을 잘 모른다면 자료를 찾고 공부해야 하는 시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아무리 좋은 글을 작성해도 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린다면 결국 콘텐츠 발행이 저조해서 블로그 성장이 늦는다.
– 방문자 폭이 좁음 : 블로그가 성장할수록 다루는 주제에 관심 있는 방문자는 늘어나지만, 주제에 관심 없는 방문자는 유입이 어렵다.
– 초반 성장 불리함 : 주제의 폭이 좁아서 글이 많이 없는 블로그 운영 초반에는 방문자 유입이 적고 성장도 저조하다.
3. 잡블로그 장점
– 방문자 폭이 넓음 : 블로그에 글 주제가 많으면 각 주제에 관심 있는 다양하고 폭 넓은 방문자의 유입을 기대할 수 있다.
– 초반 성장 유리함 : 여러 주제로 글을 쓰면서 어떤 주제와 키워드에서 방문자 유입이 많은지 분석하면 자신에게 맞는 방향을 찾기 수월하다.
– 글 작성이 편함 : 한 우물만 계속 팔 필요가 없이 원하는 주제를 만들어서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면 된다.
4. 잡블로그 단점
– 부족한 전문성 : 카테고리와 주제가 많으면 방문자는 블로그가 산만하고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다.
– 낮은 재방문율 : 특정 전문 주제를 찾아서 오는 방문자가 적다 보니 아무래도 전문 블로그보다 재방문율은 낮다.
– 짧은 체류시간 : 방문자가 블로그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길수록 만족도가 높아지고 검색 엔진의 블로그 평가 점수도 좋아진다. 하지만 잡블로그에는 키워드와 주제가 많아서 방문자는 관심 있는 글만 읽고 이탈할 확률이 높아서 상대적으로 방문자 체류 시간이 짧아진다고 보면 된다.
– 검색 엔진 최적화(SEO) 불리함 : 특정 주제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서, SEO 평가나 상위 노출 측면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다.
– 블로그 수익 감소 : 주제가 다양하면 콘텐츠와 일관성이 적거나 단가가 낮은 광고가 붙을 수 있어서 수익 감소에 영향이 있다.
5. 결론
운영자 스스로 관심과 흥미를 느끼거나 잘 아는 주제를 선택한다면 사실 전문 블로그든 잡블로그든 취향과 성향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해도 무난하다.
블로그를 계속 운영하려면 꾸준히 글을 작성해야 하는데, 예로 수익에만 관심 있고 주제 자체에 관심이 없다면(또는 잘 모른다면) 글 작성은 지속되기 어렵다. 그 이유는 글 몇 편 쓰고 갑자기 수익이 급증하는 건 매우 어려운 데다 재미없는 일을 꾸준히 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관심 있는 주제로 계속 글을 쓸 수 있다면 주제가 많든 적든 블로그는 운영할 수 있다. 좋은 글을 계속 작성해서 검색 포털 상단 노출이 많아지면 방문자 트래픽과 수익은 꾸준히 오르기 때문이다.
잡블로그의 특징 중에 콘텐츠 전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데 따지고 보면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다. 대신 블로그에 해당 주제와 관계없는 다른 카테고리가 많아서 결과적으로 전문성이 떨어져 보인다고 표현하는 것이 맞지 않나 싶다.
해당 주제에 맞는 양질의 글을 계속 작성해서 전체 글 개수를 늘리면 해당 주제에 한해서는 전문성을 갖추었다고 봐도 될 것이다. 당연히 블로그 방문자도 그 주제와 연관된 콘텐츠 만족도가 높아지고 추가로 다른 카테고리 글도 열람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만 광고 측면에서 잡블로그는 주제가 많다 보니 전문 블로그보다 현재 콘텐츠와 연관 없는 광고가 나올 확률이 높다. (방문자 참여율이 낮아진다) 이를 보완하려면 여러 주제를 시도하면서 어느 정도 콘텐츠 방향이 잡혔을 때 전문 블로그 느낌으로 전환하는 것이 좋다. 다른 주제 글이 있더라도 주력 콘텐츠 비중이 높아지면 관련 있는 맞춤 광고가 나올 확률도 높아지기 마련이다.
결론적으로 잡블로그도 단점은 있지만 충분히 승산은 있다. 특히 블로그 초보자일수록 관심 있는 몇 가지 주제를 시도하면서 운영 방향을 찾으면 도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