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과 채소는 사람 몸에 필요한 비타민과 미네랄, 식이섬유 등 필수 영양소를 제공한다. 또한 뇌와 심장 기능을 높이거나 체중 감소에도 많은 효과가 있어서 건강 유지를 위해서라면 평소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좋다.
다만 아무리 과일, 채소에 영양소가 많아도 부적절한 섭취 방법은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망고, 포도, 수박 등 과일에는 설탕 함량이 높아서 많이 먹으면 체중이 늘 수 있다. 또한 시금치 과다 섭취 시 시금치에 들어있는 옥살산염이 신장 결석을 유발할 수 있어서 적당량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부터는 크게 계절에 맞는 과일, 채소 일본어 이름을 정리했는데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음식인 만큼, 일본어 실력에도 플러스가 될 것이다. (요즘은 비닐하우스 ビニールハウス 작물 재배가 많아져서 엄격한 계절 구분의 의미가 약해진 것 같습니다)
– 과일 : 果物·菓物(くだもの) 쿠다모노
– 채소 : 野菜(やさい) 야사이, 蔬菜(そさい) 소사이
– 제철 과일 : 旬の果物(しゅんのくだもの) 슌노 쿠다모노
– 제철 채소 : 旬の果物(しゅんのやさい) 슌노 야사이
* 참고로 일본어의 ‘野菜’ 한자를 한국식으로 읽으면 ‘야채’가 된다. 그런데 이 말이 일본 강점기의 흔적이라서 순우리말인 채소라는 말을 써야 한다는 의견이 있지만, 정확한 우리말은 ‘남새’가 맞다. 그리고 채소(蔬菜)가 밭에서 일부러 기르는 작물이라면 야채(野菜)는 들에서 자연히 자란 식물과 작물을 뜻하는데, 조선세종실록에도 야채(野菜)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따라서 한국과 일본이 같은 야채(野菜) 한자를 사용하지만, 야채라는 단어가 일제 잔재라는 의견은 잘못되었고 이미 국립국어원에서도 야채와 채소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일본어 과일 이름
계절 | 과일 이름 | 일본어/발음 |
봄(3~5월) | 감귤류 | 柑橘類(かんきつるい) 칸키츠루이 |
귤 | 蜜柑(みかん) 미캉 | |
데코퐁 | デコポン 데코퐁 한라봉의 원조 일본 귤 (한라봉은 1990년대 들여와 제주도에서 재배) | |
만다린 | マンダリン 만다린 | |
딸기 | 苺(いちご) 이치고 (일본어로 いち는 1, ご는 5를 뜻하는데 1월 5일은 딸기의 날임) | |
산딸기 | 野苺(のいちご) 노이치고 | |
유자 | 柚·柚子(ゆず) 유즈 | |
오렌지 | オレンジ 오렌지 | |
앵두 | 梅桃(ゆすらうめ) 유스라우메 | |
체리 | チェリー 체리- | |
버찌 | 桜ん坊/桜桃(さくらんぼ) 사쿠란보 | |
비파 | 枇杷(びわ) 비 (아열대 과일) | |
살구 | 杏子·杏(あんず) 안즈 | |
두리안 | ドリアン 도리안 | |
여름(6~8월) | 망고 | マンゴ 망고 |
매실 | 梅(うめ) 우메 | |
무화과 | 無花果(いちじく) 이치지쿠 | |
멜론 | メロン 메론 | |
복숭아 | 桃(もも) 모모 | |
블루베리 | ブルーベリー 브루-베리- | |
수박 | 西瓜·水瓜(すいか) 스이카 | |
자두 | 李(すもも) 스모모 | |
포도 | 葡萄(ぶどう) 부도우 | |
샤인머스켓 | シャインマスカット 샤인마스캇토 | |
참외 | 瓜(うり) 우리 | |
파인애플 | パイナップル 파이낫프루 | |
패션프루트 | パッションフルーツ 팟숀후르-츠 | |
아오리사과 | 津輕(つがる) 쓰가루 (일본 아오모리현에서 쓰가루 품종으로 개량된 사과를 1970년대 국내 도입 후 재배) | |
가을(9~11월) | 감 | 柿·柹(かき) 카키 |
곶감 | 干し柿(ほしがき) 호시가키 | |
모과 | 花梨·果梨(かりん) 카린 | |
배 | 梨·梨子(なし) 나시 | |
석류 | 柘榴·石榴 (せきりゅう, ざくろ) 세키류-, 자쿠로 | |
견과류 | ナッツ 낫츠 | |
건포도 | 干し葡萄(ほしぶどう), レーズン(raisin) 호시부도우, 레-즌 | |
땅콩 | 落花生(らっかせい) 랏카세- | |
마카다미아 | マカダミア 마카다미아 | |
밤 | 栗(くり) 쿠리 | |
브라질너트 | ブラジルナッツ 브라지루낫츠 | |
아몬드 | アーモンド 아-몬도 | |
은행 | 銀杏(ぎんなん) 긴난 | |
잣 | 松の実(まつのみ) 마츠노미 | |
피스타치오 | ピスタチオ 피스타치오 | |
해바라기씨 | ひまわりの種 히마와리노네 | |
호두 | 胡桃(くるみ) 쿠루미 | |
크랜베리 | クランベリー 크베리- | |
바나나 | バナナ 바나나 | |
겨울(12~2월) | 레몬 | レモン 레몬 |
자몽 | グレープフルーツ 그레-프후르-츠 | |
자봉 | ザボン 자봉 (자몽의 한 종류) | |
포멜로 | 文旦 ブンタン 분탄 (자몽과 비슷한 열대과일) | |
키위 | キーウィ 키-위 |
일본어 채소 이름
계절 | 채소 이름 | 일본어/발음 |
봄(3~5월) | 나물 | ナムル 나무루 (한국의 나물류를 칭함) |
고사리 | 蕨(わらび) 와라비 | |
냉이 | 薺(なずな) 나즈나 | |
달래 | 野蒜(のびる) 노비루 | |
더덕 | 蔓人参(つるにんじん) 쓰루닌진 | |
도라지 | 桔梗(ききょう), 桔梗の根(ききょうのね) 키쿄, 키쿄노네 (길경) | |
마늘 | 大蒜·葫(にんにく) 닌니쿠 | |
미나리 | 根芹(ねぜり), 芹(せり) 네제리, 세리 | |
부추 | 韮(にら) 니라 | |
브로콜리 | ブロッコリ 브롯코리 | |
콜리플라워 | カリフラワー 카리후라와- | |
쑥 | 蓬·艾(よもぎ) 요모기 | |
시금치 | 菠薐草(ほうれんそう) 호-렌소- | |
아스파라거스 | アスパラガス 아스파라가스 | |
양배추 | キャベツ 캬베츠 | |
상추 | チシャ, サンチュ 치샤, 산츄 | |
양상추 | レタス 레타스 | |
양파 | 玉葱(たまねぎ) 다마네기 | |
오이 | 胡瓜(きゅうり) 큐-리 | |
애호박 | ズッキーニ 즛키-니 (애호박은 한국 작물이라서 일본에는 없는데, 대신 비슷한 주키니가 있음) | |
완두콩 | 豌豆(えんどう) 엔도- | |
죽순 | 竹の子·筍(たけのこ) 타케노코 | |
여름(6~8월) | 가지 | 茄子(なす, なすび) 나스, 나스비 (일본 지역에 따라 호칭이 다름) |
감자 | じゃがいも 쟈가이모 | |
깻잎 | えごまの葉(は) 에고마노하 | |
고추 | 唐辛子(とうがらし) 토우가라시 | |
당근 | 人参(にんじん) 닌진 (인삼도 닌진이라고 함) | |
샐러리 | セロリ 세로리 | |
아보카도 | アボカド 아보카도 | |
여주 | 蔓茘枝(つるれいし), 苦瓜(にがうり), ゴーヤー 쓰루레이시, 니가우리, 고-야- (쓴맛이 나는 채소로 주로 오키나와에서 소비) | |
오쿠라 | オクラ 오쿠라 (아열대 채소로 자른 면이 피망과 비슷하고 미끌거리는 식감이 특징. 일본에서 많이 소비) | |
옥수수 | 玉蜀黍(とうもろこし) 토우모로코시 | |
청경채 | 青梗菜(チンゲンサイ) 친겐사이 | |
케일 | ケール 케-루 | |
콩 | 豆·荳·菽(まめ) 마메 | |
강낭콩 | 隠元豆(いんげんまめ) 인겐마메 | |
대두 | 大豆(だいず) 다이즈 | |
에다마메 | 枝豆(えだまめ) 에다마메 | |
토마토 | トマト 토마토 | |
방울토마토 | ミニトマト, チェリートマト 미니토마토, 체리-토마토 | |
파프리카 | パプリカ 파프리카 | |
피망 | ピーマン 피-망 | |
가을(9~11월) | 갓 | 高菜(たかな) 타카나 |
고구마 | 薩摩芋·甘藷(さつまいも) 사츠마이모 | |
대파, 파 | 葱(ねぎ) 네기 | |
쪽파 | 小ねぎ(こねぎ), 分葱(わけぎ) 코네기, 와케기 | |
마 | 長芋(ながいも) 나가이모 | |
무 | 大根(だいこん) 다이콘 | |
배추 | 白菜(はくさい) 하쿠사이 | |
비트 | ビート 비-토 | |
사탕수수 | 砂糖黍(さとうきび) 사토-키비 | |
생강 | 生姜·生薑(しょうが) 쇼-가 | |
콩나물 | 豆もやし(まめもやし) 마메모야시 | |
숙주나물 | 萌やし(もやし) 모야시 | |
팥 | 小豆(あずき) 아즈키 | |
호박 | 南瓜(かぼちゃ) 카보챠 | |
겨울(12~2월) | 방울양배추 | 芽キャベツ(めキャベツ) 메캬베츠 |
우엉 | 牛蒡(ごぼう) 코보우 | |
연근 | 蓮根(れんこん) 렌콘 | |
콜라비 | コラビ 코라비 | |
파슬리 | パセリ 파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