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서문시장 출발)

대구광역시 중구에는 대구의 근대 모습을 간직한 5개 골목투어 코스가 조성되어 있는데 코스마다 서로 다른 매력이 있는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하는 근대골목투어 2코스는 동산 선교사 주택부터 계산성당, 제일교회, 한의약 박물관 등을 볼 수 있고 총길이 1.64km로 도보 약 2시간 정도 소요된다.

1.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동산선교사 주택 – 3.1만세운동길 – 계산성당 – 이상화·서상돈고택(계산예가) – 뽕나무골목(두사충) – 김원일의 마당 깊은 집 – 구 교남 YMCA회관 – 제일교회 역사관 – 약령시 한의약박물관 – 진골목 – 공감 게스트하우스 – 화교협회(소학교)

대구 근대문화골목 투어의 모든 코스는 누구나 자유롭게 걸으면서 여행할 수 있으며 핸드폰 앱 마켓에서 ‘대구 중구 골목투어’ 앱을 내려받으면 투어 명소 해설도 들을 수 있다. 해설사를 동반한 여행을 희망한다면 아래 투어를 신청해 보자. (무료)

* 정기투어
– 매주 토요일 10:00~12:00, 14:00~16:00
– 참가인원 제한 없이 정기적으로 운영
– 모이는 곳 : 선교박물관 앞

* 밤마실 투어
– 매주 금·토요일 19:00~21:00(겨울철 18:30~20:30)
– 참여 인원 제한 없이 정기적으로 운영
– 모이는 곳 : 현대백화점 앞

* 수시 투어
– 공공기관 및 단체투어 시 유선으로 신청
– 참가인원 10인 미만 시 투어 취소될 수 있음

* 예약 및 문의
– 예약 : ‘근대문화 골목투어’ 홈페이지 또는 아래 유선
– 홈페이지 : 바로가기
– 문의 : 053-661-2625


2. 근대골목투어 2코스 명소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서문시장 관광안내센터
서문시장 관광안내센터

서문시장 야시장 거리로 오면 119안전센터 바로 옆에 서문시장 관광안내센터가 있다. 해설사와 함께 하는 골목 투어 예약은 이곳에서도 가능하며 특히 골목투어 지도를 얻을 수 있어서 자유 여행 시 미리 들르는 것을 추천한다.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골목투어 지도
대구중구 골목투어 지도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2코스 근대문화골목
2코스 근대문화골목

지도에는 골목투어 5개 코스 안내도와 코스별로 들러야 할 명소 사진도 있어 자유 여행 시 큰 도움이 된다. 또한 명소마다 스탬프를 찍는 스탬프 투어도 할 수 있어 관심 있다면 꼭 지도를 챙기는 것이 좋다.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모바일 앱 경로
모바일 앱 경로

서문시장에서 2코스 시작점인 의료 선교 박물관까지 가려면 육교를 건너거나 지도처럼 횡단보도를 통해 큰 도로를 건너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을 바깥으로 지나면 된다. (도보 약 10~15분)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청라언덕 가는 길
청라언덕 가는 길

첨부한 지도 방향을 따라 조금 걸으면 청라언덕을 향하는 안내판을 볼 수 있다. *청라(靑蘿)언덕 : 20세기 초, 선교사들이 언덕 위에 집을 짓고 푸른 담쟁이를 많이 심은 것에서 이름이 유래. 푸를 청(靑), 담쟁이 라(蘿)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3.1 운동 벽화
3.1 운동 벽화

안내판에서 방향을 꺾어 3·1운동 벽화를 지나면 독립운동의 흔적과 대구의 근대 모습을 찾을 수 있는 2코스 근대문화골목 여행을 시작할 수 있다. 아래부터 본격적으로 2코스 주요 명소를 살펴보자.


2-1. 동산 선교사 주택

미국인 선교사들이 거주했던 주택으로 스윗즈·챔니스·블레어 주택 세 곳이 있으므로 모두 둘러보자. 주택 세 곳은 동산의료원의 인수 후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영상, 사진 촬영지로도 인기 있다)

* 관람 정보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평일 오전 10:00~12:30, 오후 13:30~16:00
– 관람 종료 1시간 전까지 입장가능
– 무료 관람 및 공휴일은 휴무
– 관람 및 기타 문의 : 053-250-8881
– 현재 시설 보수로 휴관 중 (2023.04.25~)


선교사 스윗즈 주택(선교 박물관)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선교사 스윗즈 주택
선교사 스윗즈 주택

대구에서 본격적인 선교활동이 있었던 1906~1910년경 지어진 사택으로 여러 선교사가 거주했다. 1736년 조선 영조 시절 대구 읍성 축조 때 사용한 성 돌(城石)을 기초로 하여 붉은 벽돌을 쌓았으며 최종적으로 기와지붕을 덮어 완공하였다.

현재 스윗즈 주택은 선교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내부에는 성경과 선교 유물을 비롯한 이스라엘 현지에서 구한 구약·신약 관련 소품 등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스윗즈 주택 바로 옆에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심어진 사과나무와 동산의료원 100주년 기념 종탑이 마련되어 있으니 감상해 보자.


챔니스 주택(의료 박물관)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챔니스 주택
챔니스 주택

1910년, 미국인 선교사들이 거주하기 위해 지은 곳으로 대구읍성 성돌로 기초를 만들고 그 위에 붉은 벽돌을 쌓은 미국식 주택이다. 1·2층에 자리한 거실, 서재, 부엌 등을 통해 당시 우리나라에 거주한 미국인 선교사의 주거, 생활 양식 등을 살펴볼 수 있으며 지금은 의료 박물관으로서 근대 시대 사용된 의료 기기 등을 둘러볼 수 있다.


블레어 주택(교육 역사박물관)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블레어 주택
블레어 주택

선교사 블레어(Blair)와 라이스(Rice)가 살던 집으로 1910년경에 붉은 벽돌을 쌓아 올린 주택으로 지금은 교육 역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택 내부에는 마루바닥을 비롯해 당시 생활공간을 들여다볼 수 있으며 의복, 독립선언문 LP판, 상평통보 같은 근대 소장품이 전시되어 있다.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스탬프 투어
스탬프 투어

선교사 주택을 감상하다 보면 대구에서 태어나 많은 동요를 만든 고 박태준(朴泰俊 1901~1986)이 작곡한 ‘동무생각’ (작사 이은상)의 노래 비석과 2코스 스탬프도 있으니 지나치지 말고 들러보자.


2-2. 3·1 만세운동길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대구 제일교회 외관
웅장한 대구 제일교회 외관

스윗즈 주택을 따라 길을 걸어오면 경북지방에 처음 생긴 대구 제일교회가 있다. 1893년 교회당으로 시작해서 1933년 교회 건물 완성 이후(뒤에서 살펴볼 제일교회 기독교역사관) 1994년, 사진 속 신관 건물을 지었다. (지금도 예배가 진행되며 바로 앞에는 대구제일교회 100주년 기념관이 있다)


대구제일교회 정문 쪽을 지나오면 사진 속 3·1 만세운동길을 걸을 수 있다. 1919년 3·1 만세운동에 참여한 계성학교와 신명학교 학생들이 일본군의 감시를 피해 이 길을 다녔다고 하며 벽면에는 당시 사진도 전시되어 있어 역사적 의미를 떠올려볼 수 있다.


2-3. 계산성당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계산성당
계산성당

1877년 조선에 입국한 로베르(Robert) 신부는 서울을 비롯한 경기도, 강원도 일대에서 선교활동을 벌이다 천주교 박해 등을 피해 1899년, 이곳에 한식 목조형 성당을 지었다. 하지만 이듬해 화재로 건물이 전소되었는데 대구 신자들의 도움으로 1902년, 지금의 계산성당을 완성하였다. (밤마실 투어는 성당 뒤쪽에 보이는 현대백화점부터 시작한다)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계산성당 옆모습
계산성당 옆모습

계산성당은 대구 최초의 쌍탑이 가미된 고딕 양식 건물로 외부 검은색과 붉은색 벽돌의 조화가 인상적이다. 1981년에는 그 가치를 인정받아 사적 제250호로 지정되었으며 성당 안에서는 지금도 활발하게 미사가 진행되고 있다.

성당 건물 뒤쪽의 주차장을 지나면 다음 골목투어 코스로 향할 수 있는데 그대로 지나치기 전에 성당 옆 카페명가 입구 쪽에 가서 스탬프를 찍을 수 있다. (괜찮다면 커피도 한잔!)


2-4. 뽕나무 골목(두사충)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뽕나무 골목
두사충과 뽕나무 골목

계산성당 주차장을 나와 오른쪽으로 돌면 바로 뽕나무 골목을 발견할 수 있다.

두사충(杜師忠)은 명나라 풍수 전략가로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우려고 참전하지만, 전쟁 후 명(明)이 지고 청(靑)이 뜨는 상황에서 조선 귀화를 선택해 명당인 대구에 자리 잡고 살게 된다. 이후 조정으로부터 지금의 계산동 땅을 받았지만, 조선 백성의 겨울 의복 해결을 위해 뽕나무를 심은 것에서 이 일대에 뽕나무 골목이라는 이름이 비롯되었다.

또한 두사충은 이순신 장군과도 친분이 두터웠는데 이순신 사후에 명당의 묘터를 알아봐 주기도 했다. 뽕나무 골목에 들어오면 오래전 이순신이 두사충에게 보낸 시(詩)도 감상할 수 있다.


2-5. 이상화·서상돈 고택, 계산예가

뽕나무 골목을 지나 이상화·서상돈 고택과 계산예가를 관람해 보자. 명소 세 곳이 한자리에 맞닿아 있어서 한 번에 둘러볼 수 있다.

* 관람안내
– 이상화·서상돈 고택 : 10:00~17:30 개방
– 계산예가 : 09:00~18:00 (겨울철은 ~17:30)
– 무료 관람 및 공휴일은 휴무
– 문화관광해설 안내 가능(해설사 근무 시 외국어 안내)
– 문의 및 안내 : 053-256-3762, 053-661-3323, 2621


이상화 고택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이상화 고택
이상화 고택

이상화 고택은 민족 광복의 의지와 정신을 담은 항일문학가로 알려진 이상화(李相和, 1901~1943) 시인이 1939년부터 1943년 마지막 순간까지 거주하던 곳이다. 1999년부터 고택을 보존하자는 시민운동 이후 고택 보존 등을 거쳐 현재 대구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이상화 고택 내부
이상화 고택 내부

평소 이상화 시인은 고택에서 영어 서적 번역이나 독서 등을 했다고 한다. (시 외에도 영어 번역이나 수필 등 많은 작품을 남겼다) 고택 내부에는 그의 생활 흔적부터 항일 문학 정신도 느껴볼 수 있다.


서상돈 고택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서상돈 고택
서상돈 고택

서상돈(徐相敦, 1851~1913)은 구한말 기업가와 관료로 활동했다. 그러다 1907년, 정부가 일본에 빚을 많이 져 국권을 상실할 수 있다는 생각에 대구 광문사 사장인 김광제(金光濟)와 함께 금연으로 나라의 빚을 갚자는 국채보상운동을 시작한다.

* 광문사(廣文社) : 구한말 대구에 설립한 회사로 대한매일신보의 구독·배부 등의 업무도 담당하였다. (부사장 서상돈) 그해 전국에서 일어난 국채보상운동의 발원지로 평가받고 있다.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국채보상운동 취지문
국채보상 운동 취지문

서상돈 고택은 민족운동가였던 서상돈의 생가로 대구시가 복원 후 대중에게 개방하였다. 국채보상으로 민족이 하나가 되었던 정신을 기리고자 중구 시내에는 국채보상운동공원이 조성되기도 했다. (대구 중구 국채보상로 670)


근대문화체험관 계산예가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계산예가
계산예가

계산예가는 앞서 돌아본 이상화·서상돈 고택 방문객의 편의시설과 정보 제공 등을 위해 지난 2012년 설립되었다. 대구 근대 역사부터 당시 근대예술 등을 사진 및 디지털 매체로 전시하였다.

전시 관람 외에도 스탬프를 찍을 수 있으니 들르는 것이 좋다. 이후 밖으로 나오면 계산예가 관광안내소가 있는데 문화해설이나 기타 궁금한 점이 있다면 자유롭게 문의해 보자.


2-6. 김원일의 마당 깊은 집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김원일의 마당 깊은 집
김원일의 마당 깊은 집

계산성당 쪽으로 돌아오면 주차장 입구 바로 근처에 조선 말까지 사용했던 화폐인 ‘상평통보’ 조형물이 나올 것이다. 상평통보를 끼고 왼쪽으로 돌면 ‘김원일의 마당 깊은 집’ 안내판이 있을 텐데 그대로 골목으로 들어오면 된다.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1950년대 대구 모습
1950년대 대구 모습

<마당 깊은 집>은 어린 시절 6·25 전쟁을 목격한 김원일 작가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만든 소설 작품으로 1990년 드라마로도 제작되어 방영되었다. 작품은 전쟁 직후, 대구의 한 마당 깊은 집에 모인 여러 세대 가족이 살아가는 모습을 통해 당시의 어렵고 복잡했던 상황을 그리고 있다.


이곳은 작품 속에 등장하는 ‘마당 깊은 집’의 배경 공간을 실제로 구현해 놓은 곳이자 문학 체험관의 역할을 한다. 1950년대 피난민의 생활상을 비롯해 당시 대구의 모습도 관찰해볼 수 있었는데 해설사분께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어 좋았다.


2-7. 제일교회 기독교 역사관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제일교회 기독교 역사관
제일교회 기독교 역사관

마당 깊은 집에서 나와 지도를 보고 다음 코스인 제일교회 기독교 역사관에 들러보았다. 이곳은 경북지역 최초의 교회라고 하는데 앞서 청라언덕에서 보았던 곳은 1994년 지어진 신관 건물로 이곳은 무려 1933년에 지어졌다고 한다.

9:00~18:00 사이에 방문했다면 역사관 안의 예배당과 전시관에 들러봐도 좋고 입구 근처에서는 스탬프도 찾을 수 있다.


2-8. 약령시 한의약박물관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약령시 한의약박물관 전시
약령시 한의약박물관 전시

제일교회 기독교 역사관 건물 바로 오른쪽 길을 들어오면 약령시 한의약 박물관에 도착할 수 있다. 대구 약령시는 조선 시대 중기부터 전국은 물론이고 해외 등에도 한약재를 보급해 온 한약재 전문시장으로 박물관에는 약령시의 역사와 한약 지식을 이해할 수 있는 역사실과 체험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약령시 한방의료체험타운
약령시 한방의료체험타운

한편 한의약박물관에서 도보로 5분이면 도착하는 한방의료 체험타운은 대구 약령시를 활성화하고 한의학을 알리자는 취지로 설립되었다. 어린이부터 성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한방 체험부터 맞춤 강좌 등이 진행되고 있으니 한의학에 관심 있다면 꼭 들러보자.


2-9. 구 교남 YMCA 회관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구 교남 YMCA 회관
구 교남 YMCA 회관

한의약 박물관을 둘러보는 사이 날이 조금 어두워졌다. 제일교회 역사관 앞 도로 건너편에는 3·1 운동 당시 물산장려 운동, 기독교 농촌 운동, 신간회 운동 등 민족 운동의 거점이자 지도자들이 회합하던 곳인 구 교남 YMCA 회관이 있다. (1914년 건축되었으며 대구광역시 등록문화재 530호로 지정)

또한 YMCA 회관 왼쪽 흰색 건물은 에코웰빙 체험관인데 이곳에서 한방 체험과 환경을 생각한 여러 전시도 볼 수 있다고 한다.


2-10. 영남대로, 종로, 진골목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스타벅스 대구종로고택점
스타벅스 대구종로고택점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진(긴)골목
진(긴)골목

조선시대부터 해방 전까지 대구의 중심가이자 중심 상권 등의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는 옛 건물 등과 같은 과거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작년 말 오픈한 한옥 양식의 스타벅스 종로고택점이 전국에서 유명해지기도 했으며 중구 공감 게스트하우스 입구에 들으면 스탬프도 찍을 수 있다. (대구 중구 종로2가 중앙대로79길 32)

• 영남대로 : 한양과 부산을 잇는 영남지방 교통로로 영매시장과 계산동을 지나는 약 1km의 구간
• 종로 : 조선시대 당시 대구읍성이 있었을 때의 중심지 또는 중심대로
• 진골목 : ‘길~다’는 경상도 말이 붙어 생긴 ‘긴 골목’이라는 뜻으로 종로에서 화교협회까지의 약 50m 구간


2-11. 화교협회(소학교)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화교협회
화교협회 (문화재청 공공누리 제1유형)

2코스 마지막 명소로 화교협회에 도착했다. 대구에는 지난 1905년경부터 화교(華僑 : 중국 출생이지만 다른 나라에서 사는 중국인)들이 이주하여 경제활동을 시작했는데 그들의 자녀 교육을 위해 이곳 화교협회(소학교)를 설립했고 2006년, 등록문화재 제252호로 지정되었다.

협회 건물은 1925년 당시 대구 부호인 서병국이 주택으로 지었고 1949년 대구화교협회가 매입했다고 한다. 건물을 감상했다면 바깥쪽 메인 입구 근처에서 스탬프도 찾아보자.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 안내. 2코스 스탬프 투어 완료
2코스 스탬프 투어 완료!

대구 2코스 근대문화골목 명소를 걸으면서 스태프를 모두 모을 수 있었다. 지도 안내를 따라 천천히 걸으면서 대구 근대 역사와 문화의 발자취를 찾고 스탬프를 모으는 재미도 느낄 수 있는 만족스러운 경험이었다. 골목 투어가 처음이라면 개인으로 둘러봐도 좋겠지만, 더 깊은 이해를 위해 해설사 동반 투어를 신청하는 것도 추천할만하다.

관련 글
대구 근대골목투어 1코스 안내 (달성공원 출발)
대구 근대골목투어 5코스 안내 (남산 100년 향수길)

Leave a Comment